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과 론 커크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8일 오전부터 이틀 일정으로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쟁점 현안을 타결하기 위한 통상장관 회의를 열었다.
김 본부장은 이날 통상장관 회의를 끝낸 뒤 언론브리핑에서 미국 쪽이 요구한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환경규제 및 안전기준의 완화를 수용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김 본부장은 “미국이 우리의 자동차 안전기준과 연비와 온실가스 배출 등 환경기준에 관심을 표명했다”며 “미국산 자동차의 점유율이 1%도 안 되는 상황에서 강화된 안전·환경기준이 (미국차의) 시장 진입 장벽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 균형점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쇠고기 분야에 대해선 “미국의 관심 표명은 있었지만 아직까지 논의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명박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일 만나기 전에 협상을 매듭짓기로 공언하고, 이날 통상장관 회의가 끝난 뒤 관계부처 긴급 장관회의가 잇따라 열려 통상장관 이틀째 회의가 진행되는 9일 협상이 타결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김 본부장도 “내일(9일) 협의를 진행하다 중요한 진전이 있으면 수시로 브리핑을 갖고 진행 상황을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김황식 국무총리는 언론사 경제부장들과 한 오찬 간담회에서 “자동차 분야에서 한-미 협정을 타결하고 난 뒤 변화된 환경을 감안해 다소 협상의 여지가 있지만, 기존 협정문을 가급적 고치지 않는다는 게 우리 원칙”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또 오바마 대통령의 방한 일정을 맞추느라 일방적으로 양보하는 거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결코 밀실에서 졸속으로 협상을 끝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