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과토론 2 - ISO26000
지난 11월1일 국제표준협회가 공표한 ‘ISO26000’을 아시아 지역에서 어떻게 구체화할 것인지도 이번 포럼의 핵심 논의 주제였다. 인권과 환경, 소비자 이슈 등의 기준을 담아 사회적 책임 국제표준이나 다름없는 ISO26000은 비록 강제성은 없지만, 각 국가 또는 기업한테 기회이면서 동시에 위협 요소다. 제대로 활용하면 국제적 평판을 높이는 계기가 되지만, 무시했다가는 큰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김종대 인하대 교수(환경경영학)의 사회로 ‘ISO26000 도입과 기업의 대응’을 주제로 열린 분과세션에서, 일본 소니의 도미타 히데미 사회책임경영(CSR) 담당 부장은 ISO26000 제정을 위한 실무작업에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국제표준은 기업뿐 아니라 정부, 비정부기관 등 모든 유형의 조직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게 기존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표준과 다른 점”이라고 설명했다.
최갑홍 한국표준협회 회장은 “한·중·일의 경제규모는 증가하고 있으나 사회책임경영의 수준은 낮은 상황”이라며 “ISO26000의 시행과 사회책임경영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는 무엇보다 최고경영자(CEO)의 실행의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김익성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ISO26000이 분명히 무역장벽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중소기업들도 실정법 준수, 최적 수익성 지향 등 사회적 책임이라는 맥락에서 새로운 경영원칙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책임투자를 지향하는 서스틴베스트 류영재 대표는 “앞으로 기업의 자금조달에도 ISO26000의 준수 여부가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