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긴급대책…대형마트등 난방 20℃ 이하 제한
수도권 전철 배차간격 조정등 전력피크 분산도 추진
수도권 전철 배차간격 조정등 전력피크 분산도 추진
계속되는 강추위에 최대 전력수요가 연일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전력예비율이 6% 이하로 떨어지자, 정부가 고강도 에너지절약 대책을 내놨다.
정부는 18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열어 백화점 등의 난방온도를 제한하고 전력피크 시간대에는 지하철 운행을 축소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2011년 에너지 수요전망 및 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전기사용 억제를 위한 긴급대책으로, 이달 24일부터 다음달 18일까지 4주 동안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에너지 다소비 건물 441곳의 실내 온도가 20℃ 이하로 제한된다. 점검반 현장 확인 결과, 이를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엔 시정명령과 과태료(300만원) 부과 등 제재가 가해진다.
이와 함께 전력피크 분산을 위해 오전 10~12시 두시간 동안 수도권 전철의 배차 간격을 현행보다 1~3분씩 늘리기로 했다. 전국의 에너지 다소비 건물 441곳과 다소비 사업장 1992곳은 10분씩 순차적으로 개별 난방기 가동을 멈추도록 했으며, 공공기관은 오전 11~12시, 오후 5~6시 난방기 사용 중단된다.
중장기 에너지 절약 대책도 나왔다. 면적 1만㎡ 이상 공공건물 가운데 에너지 절약 효과가 5% 이상 기대될 경우엔, 에스코(에너지절약 전문기업) 사업이 의무화된다. 에스코 업체가 시설보수 등을 통해 건물의 에너지효율을 높여주고, 대신 줄어든 에너지 요금으로 사업비를 회수하게 되는 것이다.
에어컨과 냉장고, 드럼세탁기 등에는 에너지효율 목표관리제가 실시된다. 에너지효율 목표관리제는 해당 제품의 최상위 효율 모델을 기준으로 목표효율을 설정하고, 기업 판매모델의 평균효율이 목표효율 이상이 되도록 관리하는 제도다. 또 100억원의 예산을 들여 전국 1550개 전통시장 조명의 30%를 차지하는 백열전구를 효율이 높은 엘이디(LED) 등으로 교체하는 작업도 추진한다.
아울러 대형건축물은 건축 허가 때 에너지 사용량 평가를 의무화하도록 했다. 또 아파트의 경우 에너지 절약 실천 정도에 따라 녹색과 노란색, 빨간색을 입힌 새로운 디자인의 고지서가 도입된다. 이 고지서엔 이웃의 평균 에너지 사용량과 전년도 같은 달 사용량이 함께 기재돼, 매달 에너지 과다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지식경제부는 이달부터 서울 방배동 한 아파트 600가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에 들어갔는데, 2분기에는 서울시 전역으로 보급을 늘리고 전국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디자이너, 심리학자, 사회학자 등으로 팀을 만들어 기존 고지서와 새 고지서를 받았을 때 소비자의 반응과 행동양식을 비교, 분석한 뒤 새 고지서의 디자인을 개발했다”며 “해당 아파트 단지에서 5~10% 정도 자발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