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들이 동반성장 문화 정착을 위해 하도급직불제 확대와 공동도급제 도입,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공사자재 직접 구매 등에 나서기로 했다.
한국전력과 토지주택공사 등 15개 공공기관은 24일 서울 리츠칼튼호텔에서 ‘공공기관 동반성장협의회 창립총회’를 열고, 각 기관별 올해 동반성장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한국가스공사는 500억원 이상 공사를 발주할 경우 주계약자 공동도급제(원도급업자와 하도급업자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 참여)를 도입하고, 284억원 미만 사업에 대해선 지역의무 공동도급제(지역 건설사 30% 이상 참여)까지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지역난방공사는 하도급직불제 대상을 현행 300억원 이하 공사에서 400억원 이하로 확대하고, 소프트웨어와 전기공사 등은 분리 발주하기로 했다. 또 철도공사는 전자조달시스템에서 구매·발주계획을 미리 공개하는 수요예고제를 도입하고, 공사용 자재 직접구매 대상을 3000만원 이상에서 1000만원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 한전과 석유공사, 광물자원공사는 중소기업 국외 동반진출을 확대하기로 했으며, 수자원공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술제안 공모와 함께 기술이전 사업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이날 협의회는 ‘공공기관 동반성장 이행 헌장’을 채택하고 “동반성장을 통해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고 그 성과가 공정하게 배분될 수 있도록 제도와 사례를 발전시켜 나가겠다”며 “국가성장에 기여하는 건강한 기업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