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좌’는 ‘계산’, ‘미만’은 ‘이하’…‘any’는 아예 안 옮겨
정부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정문의 한글본을 재검독한 결과 모두 44개에 이르는 오류를 발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사실은 지난 4일 외교통상부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 한-미 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에 대한 철회를 요청하며 제출한 자료에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는‘광자적(photonic)’을 ‘광학적’으로, ‘사료용식물(Fodder)’을 ‘사료용근채류’로 잘못 옮긴 사례가 있었다. 철자가 틀린 경우도 여럿 있다. ‘채택된’을 ‘체택된’으로, ‘모델라인이라 함은’을 ‘모델라인라 함은’으로 표기한 경우다.
영문본의 ‘any’라는 표현의 해석도 한글본에서는 무더기로 빠졌다. 고유명사의 표기에서도 오류가 발생했다. ‘세계지적재산기구’는 ‘세계지적재산권기구’로, ‘연방해사위원회’는 ‘연방해운위원회’로 잘못 표현했다. 정부는 협정문 내에서 혼용해 쓰던 단어도 정리해, ‘consultancy’는 ‘상담’으로, ‘publication’는 ‘공표’로, ‘arbitrator’는 ‘중재인’으로 통일하기로 했다.
특히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 한글본에서 드러났던 번역 오류가 고스란히 되풀이된 경우도 있다. ‘군복무자’는 ‘병역의무자’로, ‘계좌’는 ‘계산’으로, ‘모집’은 ‘매출’로, ‘자회사’는 ‘현지법인’으로, ‘수입업자’는 ‘무역업자’로, ‘미만’은 ‘이하’로 엉뚱하게 둔갑했다.
정부는 번역 오류를 고친 비준동의안을 이달중에 국회에 다시 제출할 예정이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