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해양R&D 11대 과제 선정
수심 6000m 아래서도 정밀 근접탐사가 가능한 심해용 무인잠수정 개발, 극지 빙하와 환경 변화를 연구하는 남극 제2기지(조감도) 건설, 수중 음향 무선통신망 시스템 개발…. 국토해양부가 선정한 해양 연구개발(R&D) 11대 과제의 일부다.
국토부는 미래 신성장 동력의 잠재성이 큰 해양과학 기술과 안전 및 환경 분야에서 모두 11개 사업을 해양 연구개발 중점 추진사업으로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개발 중인 차세대 심해용 자율 무인잠수정은 수중 유영과 해저보행 기능을 갖추고 바닷속 6000m까지 탐사할 수 있다. 현재 심해용 잠수정 ‘해미래’도 수심 6000m까지 탐사가 가능하지만 이는 줄을 매달아 투하하는 원격조종 방식(ROV)이고, 자율 무인잠수정 ‘이심이’는 100m의 얕은 수심에서만 탐사가 가능하다.
5000t급 대형 해양과학조사선도 오는 2014년까지 건조된다. 정밀 탐사를 위해서는 최신 장비를 탑재한 선박을 이용해야 하지만 현재 우리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온누리호는 20년 된 노후 선박이어서 한계가 있다. 온누리호는 망간단괴 탐사, 인도양 열수광상 탐사 등 해양광물자원조사에 활용돼 연 300일 이상 가동되면서 선박 사용에 어려움이 뒤따랐다.
육상 및 해상에서 원격 관제가 가능한 수중무선통신 시스템도 개발된다. 이 기술은 깊은 바다 속의 자원 개발과 해양조사는 물론 방위산업에도 활용할 수 있다.
동남극 로스해 인접지역인 테라노바 베이에 지어질 제2 남극기지 구축 작업도 속도를 내게 된다. 기지는 2014년 완공 예정이다.
이어도와 가거도 해양과학기지에 이어 내년까지 독도에 3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동해 해양과학기지가 지어진다. 독도 기지가 완공되면 실시간 해양관측자료를 생산해 해양 예보의 정확성을 높이고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보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바닷속에 매립하는 기술도 개발된다. 이는 발전소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이산화탄소를 해양퇴적층에 친환경적으로 저장시키는 기술이다. 이밖에 해양 조류와 초고온성 고세균 등을 활용한 해양바이오에너지 기술개발, 해양생태계 교란생물 제어기술개발, 장기 해양생태계 연구, 해양용존자원 추출개발 등의 과제도 수행할 계획이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