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상반기 결산·하반기 전망
전셋값 4~5% 상승, 매맷값은 약세 전망
집값 변수로 금융규제·금리인상 등 꼽혀
전셋값 4~5% 상승, 매맷값은 약세 전망
집값 변수로 금융규제·금리인상 등 꼽혀
올해 상반기 부동산시장은 수도권과 지방, 매매와 전세 등 각각의 시장에 따라 온도차가 뚜렷했다. 주택 거래시장이나 신규 분양시장은 ‘수도권 침체, 지방 훈풍’으로 요약된다. 또 수도권에서는 서울, 경기 할 것 없이 전셋값이 급등하며 서민들의 시름을 깊게 했던 반면 매맷값은 안정되면서 지난해에 이어 거래 침체가 지속됐다.
전문가들은 하반기에도 전국적으로 전셋값이 오르지만 주택 매맷값은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금리 인상 추세와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계대출의 압박으로 수도권의 주택가격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보는 전망이 우세하다.
■ 상반기 지방 집값만 껑충 정부는 ‘1·13 전월세시장 안정화 방안’, ‘2·11 전월세 안정화 보완 방안’, ‘3·22 주택거래 활성화 방안’, ‘5·1 건설경기 연착륙 및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 등 상반기에만 네 차례의 대책을 발표했다. 수도권의 매매 거래는 활성화하고 전월셋값은 안정시키겠다는 게 목표였지만 시장의 반응은 신통치 않았다.
국민은행의 주택가격동향조사를 보면, 지난해 말 대비 5월 현재 서울의 주택가격은 0.7% 오르는 데 그친 반면 전세가격은 5.2% 올랐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조사로는 올해 상반기(지난해 말 대비 6월10일 현재)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말보다 0.2% 하락했고, 수도권(0.3%)과 새도시(0.3%)는 올랐어도 상승폭은 미미했다. 반면 전세 시세는 서울 4.3%, 수도권 7.8%, 새도시 7.0% 등 모두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과 반대로 지방은 부동산시장이 오랜만에 활기를 되찾아 대조를 이뤘다. 지난해 말부터 상승세를 탄 경남(12.6%. 국민은행 조사)과 부산(9.7%)이 ‘지방 훈풍’을 주도한 가운데 광주(9.4%), 대전(7.1%), 충북(6.7%), 전북(5.4%) 등 다른 지역도 아파트값 오름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07년 말 분양가 상한제의 도입과 이듬해 세계 금융위기 이후 지방의 신규 주택공급이 급감한 탓에 공급부족 현상이 나타난데다 과학벨트 지정, 공공기관 이전 계획 확정 등 지역별 개발 호재가 잇따라 발표됐기 때문이다.
지방과 수도권의 부동산 경기 양극화는 분양시장에서 더욱 뚜렷했다. 올해 상반기 분양물량은 지방이 7만2600가구로 수도권(5만7925가구)을 앞질렀다. 반기별로 지방의 분양 물량이 수도권을 추월한 것은 2007년 상반기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지방 아파트 분양값은 3.3㎡당 757만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5% 오른 반면, 수도권 아파트 분양값은 1257만원에서 1240만원으로 1% 내렸다.
■ 하반기 전셋값 ‘5% 상승’ 전망 무게 부동산 관련 연구기관과 전문가들은 대체로 하반기에도 매맷값 약세, 전셋값 강세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 20일 발표한 ‘2011년 하반기 주택·부동산 전망’ 보고서에서 하반기 전세가격이 5% 오르고 주택 매매가격은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매맷값의 경우 지방은 4% 수준의 상승곡선을 이어나가고, 수도권은 강보합세를 유지해 별다른 가격 변동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건산연 허윤경 연구위원은 “올해 전국의 아파트 예상 입주물량이 지난해의 3분의 2 수준이자 1990년대 이후 가장 적은 20만가구에 불과해 전세난을 부추길 것”이라고 말했다.
주택산업연구원도 올해 하반기 아파트 전세가격은 5%, 주택 전체 전세가격은 4% 오를 것으로 봤다. 주산연은 수도권은 매맷값 하락에 대한 불안감에 전세 수요가 늘고, 지방은 매맷값 상승에 따른 전셋값 동반 상승으로 전국적으로 전셋값 상승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집값에 영향을 끼칠 변수로 가계부채 관련 금융 규제, 금리 인상, 분양가 상한제 폐지, 전세난 등을 꼽고 있다. 1000조원에 육박한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금융당국은 조만간 지방을 중심으로 대출 규제에 나서고, 물가 급등에 따라 통화당국은 하반기에 현재 3.25%인 기준 금리를 추가적으로 올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하반기 부동산시장은 상반기에 쏟아졌던 거래 활성화 대책이 계속해서 먹혀들지 않는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되더라도 집값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박원갑 부동산1번지 부동산연구소장은 “민간택지나 재개발·재건축 구역 등의 분양값 상한제가 폐지될 경우 서울지역 중대형을 중심으로 신규 아파트 분양값이 오를 수는 있지만 공급과잉 상태에 빠진 수도권 중대형 집값에는 당분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정 부동산114 본부장은 “전세난이 한차례 더 불어닥치면 국지적으로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바뀌면서 소형 아파트 가격이 들썩일 수는 있다”며 “전반적으로는 불투명한 시장 상황으로 인해 거래 관망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주택산업연구원도 올해 하반기 아파트 전세가격은 5%, 주택 전체 전세가격은 4% 오를 것으로 봤다. 주산연은 수도권은 매맷값 하락에 대한 불안감에 전세 수요가 늘고, 지방은 매맷값 상승에 따른 전셋값 동반 상승으로 전국적으로 전셋값 상승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집값에 영향을 끼칠 변수로 가계부채 관련 금융 규제, 금리 인상, 분양가 상한제 폐지, 전세난 등을 꼽고 있다. 1000조원에 육박한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금융당국은 조만간 지방을 중심으로 대출 규제에 나서고, 물가 급등에 따라 통화당국은 하반기에 현재 3.25%인 기준 금리를 추가적으로 올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하반기 부동산시장은 상반기에 쏟아졌던 거래 활성화 대책이 계속해서 먹혀들지 않는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되더라도 집값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박원갑 부동산1번지 부동산연구소장은 “민간택지나 재개발·재건축 구역 등의 분양값 상한제가 폐지될 경우 서울지역 중대형을 중심으로 신규 아파트 분양값이 오를 수는 있지만 공급과잉 상태에 빠진 수도권 중대형 집값에는 당분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정 부동산114 본부장은 “전세난이 한차례 더 불어닥치면 국지적으로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바뀌면서 소형 아파트 가격이 들썩일 수는 있다”며 “전반적으로는 불투명한 시장 상황으로 인해 거래 관망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