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D·메모리 사업 부진탓
삼성전자가 예상대로 2분기 중 저조한 실적을 올렸다. 휴대전화 사업에선 재미를 봤지만 대형 액정화면(LCD)과 메모리 반도체 사업이 부진한 탓이다.
삼성전자는 7일 공시를 통해 2분기 실적이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 39조원, 영업이익 3조7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매출은 2.9%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26.2% 줄었다. 상반기 전체 매출은 75조99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증가했고, 영업이익(6조6500억원)은 29.4% 감소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2분기에도 삼성전자가 휴대전화 부문에선 기대 이상의 실적을 올린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4월 말 출시된 갤럭시에스(S)2가 두 달 만에 300만대 이상 팔려나가는 등 인기몰이에 나섰기 때문이다.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능동형발광다이오드(AMOLED) 사업도 활기를 띠었다. 이에 반해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텔레비전과 개인용컴퓨터 교체 수요가 줄어들면서 완제품 부문 실적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덩달아 메모리 반도체와 대형 엘시디 쪽도 성적이 좋지 않았다.
실제로 대표적인 메모리(디램) 제품인 ‘디디아르(DDR)3 1Gb(128Mx8 1066MHz) 가격은 지난해 2분기 2.63~2.72달러대에서 현재 0.92달러까지 떨어진 상태다. 지난해 2분기 4달러 안팎에 머물던 낸드플래시(16Gb 2Gx8 MLC) 가격도 3.12달러대로 떨어졌다. 1분기에 2300억원의 적자를 냈던 엘시디 사업은 2분기에도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