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먼 타라비시 미국 조지워싱턴대 교수
타라비시 국제중기협 사무총장
이탈리아 패션 기업이 세계 시장을 주름잡는 이유는 무엇일까?
국제중소기업협의회(ICSB) 사무총장인 아이먼 타라비시(사진) 미국 조지워싱턴대 교수는 22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 36회 대한상공회의소 제주포럼’에 참석해 “제조업체부터 협회, 연구소, 출판업체까지 패션사업을 위한 생태계 조성이 잘 돼 있기 때문”이라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이탈리아 중소기업의 명품 브랜드와 그 비밀’이라는 특별강연을 통해 “이탈리아 패션업계는 수백년에 걸쳐 강력한 협력체계를 구축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까다롭기로 유명한 이탈리아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패션업계가 꾸준히 노력한 결실이기도 하다.
타라비시 교수는 “이탈리아에서는 패션을 한 사람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생각한다”며 “그만큼 패션의 품질을 중요시한다”고 말했다. 이탈리아 기업이 소비자가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패션을 통해 끊없이 정서적으로 교감하려 애쓴게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명품을 내놓은 비결이라는 게 그의 진단이다.
이탈리아 패션업계는 또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가격대의 브랜드를 선보인 것도 특징이다. 그 덕분에 전세계 인구 100명당 34명꼴로 ‘메인드 인 이탈리아’ 제품을 보유할 수 있었다. 특히 아르마니와 구찌 등의 브랜드는 신흥시장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고, 특히 중국에서는 오는 2015년까지 270억 달러의 명품 브랜드 시장이 형성될 것이라고 타라비시 교수는 내다봤다.
타라비시 교수는 “최근 이탈리아 패션업계는 브랜드를 다양화하면서 새로운 업종에 뛰어드는 양적 집중화 전략과 기존의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는 질적 집중화 전략으로 나뉘고 또다시 변화의 길을 걷고 있다”며 “소비자의 까다로운 요구를 탓하지 않고 끊임없이 혁신하는 것이 이탈리아 명품 패션산업의 비밀”이라고 말했다.
서귀포/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