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보다 92% 늘어
대기업 계열사간에 ‘빚보증’을 서주거나 받은 액수가 지난해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신규 편입그룹을 빼면, 계열사 보증을 통한 자금조달은 지난해보다 소폭 줄어들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9일 자산규모 5조원 이상인 55개 채무보증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의 계열사간 채무보증금액을 조사한 결과, 16개 대기업집단에 걸쳐 2조931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3개 집단의 채무보증금액(1조5246억원)보다 92.3%나 늘어난 수치다. 유진(1조1863억원), 대성(1921억원), 태광(600억원) 등 올해 대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된 3개 그룹의 채무보증액이 1조4384억원에 이른 탓이다. 이 가운데 유진그룹이 하이마트에 제공한 1조1690억원의 채무보증은 하이마트가 지난 6월 자체신용으로 전환함에 따라 내년 집계에서는 제외될 예정이다.
신규 편입집단을 제외한 삼성, 포스코, 에스티엑스(STX) 등 나머지 13개 집단이 보유한 채무보증금액은 1조493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33억원(2.1%)이 줄었다. 삼성, 포스코, 씨제이(CJ) 등에서 발생한 신규 채무보증금액은 대부분 보증을 해줬던 기업들이 계열사로 신규 편입되면서 자연발생한 것이다. 공정위는 “신규 대기업집단을 빼면 계열사 보증을 통한 자금조달을 가급적 자제하려는 관행이 상당히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공정거래법상 대기업 계열사들이 국내금융기관에 빚보증을 서주는 것은 원칙적으로 금지돼있다. 다만, 수출선박 건조, 기술개발자금, 산업합리화 등을 위한 빚보증은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