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2009년 평균 16.3%
10여년 사이 6.7%p 감소
10여년 사이 6.7%p 감소
지역경제에서 건설산업이 갖는 영향력이 갈수록 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지역별 건설산업의 위상 및 역할 분석’ 보고서를 보면, 지역 내 총생산(GRDP) 대비 건설투자의 비중이 최근 몇 년 새 눈에 띄게 줄었다. 건산연 조사결과 지난 1995~1997년 3년 동안 전국 평균으로 23.0%를 기록한 지역 내 총생산 대비 건설투자 비중이 2007~2009년에는 평균 16.3%로 6.7%포인트 감소했다.
특히 충남지역은 1995~1997년 평균 34.0%에 이르던 이 비중이 2007~2009년 평균 17.6%로 매우 감소했다. 대전은 29.8%에서 14.0%로, 경기도는 30.1%에서 19.4%로 각각 10%포인트 이상 급감했다. 강원도는 1995~1997년 평균 34.2%에서 9.9%포인트 감소하기는 했지만 2007~2009년에도 24.3%로 비교적 양호한 수치를 보였다.
서울은 16.9%에서 5.6%포인트 줄어든 11.3%로 10% 선이며, 울산은 7.7%에서 12.1%로 유일하게 지역 내 총생산 대비 건설투자 비중이 올라갔다. 1995~1997년 전국적으로 이 비중이 30%를 넘는 지역이 충남, 경기, 강원 등 세 곳이나 됐지만 2007~2009년에는 한 곳도 없었고 20%를 넘는 지역도 강원, 전북, 전남, 인천 등 4곳에 불과했다.
한편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중 건설투자 성장률은 지난해 대비 -5.6%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