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5만가구…지방 2배 늘고 수도권 소폭 줄어
지난해 전국 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이 전년보다 절반 가까이 크게 늘었지만 수도권만 보면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전국에서 모두 54만9594가구의 주택이 인허가를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금융위기 전인 2007년 수준(55만5000여가구)에 가깝고 2010년의 38만7000가구에 비해서는 42.2%, 최근 3년(2008~2010년) 평균에 견줘서는 44.7% 증가한 물량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전체 인허가 물량을 48만가구로 추산했으나 연말에 지방 민영 아파트와 다세대·다가구 등의 인허가가 몰리면서 애초 예상을 웃돌았다”고 말했다.
지난해 전반적인 주택경기 침체 속에서도 인허가 물량이 급증한 것은 지방의 신규 분양이 활기를 띤 영향이 컸다. 지방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총 32만9183가구로 전년(16만3283가구) 대비 101.6%나 증가했다.
이에 반해 수도권의 인허가 물량은 전년(22만3259가구)보다 1.3% 줄어든 22만411가구에 그쳤다. 이 가운데서도 아파트는 집값 하락과 재개발·재건축 사업 침체 등으로 인허가 물량이 전년(19만7388가구) 대비 10.7% 감소해 지방과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또 보금자리주택 등 공공기관이 짓는 주택도 6만688가구로 전년보다 41.5% 줄어 감소폭이 컸다. 이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자금난으로 하남감북, 과천지식정보타운 등 이미 지정된 사업지구에서 사업승인이 지연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