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자금난 사업방식 재검토
주택 줄이고 자족기능 보완
주택 줄이고 자족기능 보완
정부가 경기 광명·시흥 보금자리주택지구 개발에 민간 자본을 끌어들이기로 하고 구체적인 사업 방식 검토에 들어갔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자금난으로 이곳의 사업이 사실상 중단된 데 따른 조처다.
국토해양부는 광명·시흥지구의 사업 정상화를 위해 사업 방식을 다각화하는 방안과 함께 지구계획 변경을 추진중이라고 25일 밝혔다.
국토부는 먼저 택지 조성과 주택건설에 연기금과 민간 사업자를 참여시키기로 했다. 엘에이치가 대지 지분의 51%를, 민간이 49%를 투자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사업터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건설사와 국민연금 등 연기금, 리츠 등의 참여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보금자리주택지구에 대한 민간자본 참여는 지난해 말 보금자리주택특별법 개정으로 오는 8월부터 가능해졌다.
이와 함께 지난 2010년 12월 확정한 지구 계획을 바꿔 주택건설 규모를 줄이고 호텔·업무·상업기능 등 자족기능을 보완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보금자리주택 건설도 엘에이치가 토지를 제공하고, 민간 건설사가 도급을 받아 공사를 맡는 ‘지주공동사업’ 방식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3월까지 민간 참여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그러나 현행 2단계 개발을 3~4단계로 늘리거나 주택 수를 줄이는 것은 검토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2010년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된 광명·시흥지구는 땅 크기가 1736만㎡로 분당(1960만㎡)과 맞먹고 건립계획 가구수가 9만5000가구(보금자리주택 6만6000여가구)에 이르는 새도시급 규모다. 그러나 엘에이치가 자금난을 겪으면서 주택 사전예약과 보상개시 등 사업 추진이 1년여간 미뤄져왔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