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4곳 가운데 1곳은 환경이 조성되면 대북사업을 추진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가 최근 국내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북한 권력승계와 경제적 영향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 23.6%가 ‘북한에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 대북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상황에 따라 유동적’ 이라는 응답이 44.2%로, ‘추진하지 않겠다’는 응답(32.2%)보다 많았다. 진출할 유망 분야로는 ‘북한 노동력 활용사업’(61.0%), ‘중국 진출 교두보 확보’(24.1%) 등을 꼽았다.
남북경협과 대북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과제로는 ‘사업권 보장, 피해보상 등 대북투자 보호제도 확충’(44.2%)을 요구했다. 그 다음으로 ‘개성공단 활성화’(22.1%), ‘경협사업에 정경분리 원칙 적용’(13.9%), ‘북한 내 사회간접자원(SOC)투자 확대’ (11.5%) 등이 뒤따랐다. 한편, 북한의 권력승계에 따른 체제 안정에 대해서는 절대 다수(96.2%)가 김정은 후계체제에 대해 ‘불확실하거나 불안하다’(96.2%)고 바라봤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장남 이맹희가 동생 이건희에 밀린 사연은…
■ “교황 12개월내 암살” 문서 유출…바티칸 발칵
■ 중고생들 “노스페이스 이젠 싫다”
■ “민주당에는 이상한 사람이 많지만…” 남 텃밭의 괴로움
■ 이맹희 베이징 ‘은둔생활지’ 가보니
■ 장남 이맹희가 동생 이건희에 밀린 사연은…
■ “교황 12개월내 암살” 문서 유출…바티칸 발칵
■ 중고생들 “노스페이스 이젠 싫다”
■ “민주당에는 이상한 사람이 많지만…” 남 텃밭의 괴로움
■ 이맹희 베이징 ‘은둔생활지’ 가보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