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금 조정 애로’ ‘부당 삭감’ 불만
국내 건설사 100곳 중 95곳은 정부나 공공기관으로부터 따낸 일감에서 이윤을 남기지 못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9일 대한건설협회는 종합건설사 상위 300개사와 회원사 등 1000여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한 공공공사비 설문조사 결과, 건설사의 95%가 지난 1년간 수주한 공공공사 계약금액이 이윤을 남길 수 없는 수준이라고 답했다고 밝혔다. 또 일반관리비조차 건지지 못해 적자를 예상하는 응답은 절반인 50%였다. 건설사들은 공사비를 제대로 확보받지 못한 이유로 공기연장에 따른 현장관리비 불인정이나 설계변경 금액 불인정 등 ‘계약금액 조정 애로’(5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부당삭감’(35%)이 뒤를 이었다.
건설사들은 그럼에도 공공공사 수주에 참여하는 이유에 대해 ‘입찰에 필요한 공사실적 확보’(48%), ‘인력 및 장비 유지’(39%), ‘연간 공공공사 수주목표 달성’(8%) 차례로 답했다. 건설사별로 지난해 공공공사 수주 건수는 ‘5건 미만’이 5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9건’(26%), ‘10건 이상’(15%) 차례였다.
최재균 대한건설협회 경영지원센터 실장은 “발주자가 제대로 시공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원가 구성요소인 실적공사비 등에 대한 제도개선과 예정가격 작성 과정에서의 공사비 삭감 관행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