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디 시에 전 모건스탠리 아시아담당 수석이코노미스트
금융연구원 토론회서 전망
“시장 아닌 정부정책 실패탓”
“시장 아닌 정부정책 실패탓”
‘버블(거품) 예측의 권위자’로 유명한 앤디 시에(사진) 전 모건스탠리 아시아담당 수석이코노미스트가 18일 “중국에서도 부동산 버블이 조만간 폭발할 것”이라며 이에 따른 세계 경제의 또다른 충격을 예고했다.
경제학 박사이기도 한 그는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금융연구원 주최로 열린 초청 토론회에서 이렇게 밝혔다. 시에 박사는 “지난 2004년부터 중국 정부가 생산에서 투기로 전환했다”며 “이 때문에 중국 부동산에는 현재 상당한 버블이 형성돼 있으며, 이 버블은 올해 붕괴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부동산 시장이 올해 3~4분기에 회복세를 보일 순 있겠지만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에 박사는 “지난해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20%가 부동산 관련 투자에서 발생했는데 올해는 부동산 투자가 35% 넘게 줄었다”며 이는 전체 중국 시장의 현금흐름을 위축시키는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중국이 더 성장하려면 금융 자원을 부가가치가 더 높은 전환해야 한다”면서 “만약 정부가 이런 개혁을 하지 않으면 중국 금융권의 위기는 오랫동안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에 박사는 중국 정책 당국의 개혁 의지와 능력에 대해선 비관적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여전히 법과 제도가 아닌 아닌 중앙 정부나 정부 관료들에 의해 경제가 움직이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는 이유에서다. 그는 특히 중국의 부동산 버블도 시장의 실패가 아닌 정부 정책의 실패 탓이라고 강조했다. 시에 박사는 버블 붕괴의 이후의 전망과 관련해서는 “공공부문의 개혁이 없다면 중국 경제는 수년간 스태그플레이션에 시달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소기업 대출과 주식시장 내부거래 단속 등 중국 정부가 내놓는 피상적인 정책으로는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군장병 의료용 살균제, 알고보니 ‘주방용 소독제’
■ 최태민 딸 순실씨, 강남에 시가 160억~200억대 부동산
■ MBC 노조 “근무 때 야동 보는 이가 부장 되다니…”
■ 이런 별미 놓치고 가면 후회할걸!
■ [화보] 사진 기자는 ‘물 마시는 국회의원’을 좋아해
■ 군장병 의료용 살균제, 알고보니 ‘주방용 소독제’
■ 최태민 딸 순실씨, 강남에 시가 160억~200억대 부동산
■ MBC 노조 “근무 때 야동 보는 이가 부장 되다니…”
■ 이런 별미 놓치고 가면 후회할걸!
■ [화보] 사진 기자는 ‘물 마시는 국회의원’을 좋아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