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수 전경련 회장
전경련 기자간담회서 작심발언
“기존 법으로도 충분히 성취 가능
차기 대통령, 경제 살릴 후보돼야”
“기존 법으로도 충분히 성취 가능
차기 대통령, 경제 살릴 후보돼야”
“경제민주화가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겠다.”
재계 수장으로 정부 정책에 대해 그동안 말을 아껴온 허창수(사진)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장이 대선을 앞두고 최대 화두가 되고 있는 경제민주화 정책에 대해 정치권과 큰 시각차를 드러냈다. 허 회장이 경제민주화 정책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허 회장은 27일 제주 해비치호텔에서 열리고 있는 ‘전경련 하계포럼’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최근 정치권의 최대 화두로 등장한 경제민주화에 대해 “정치권에서 들고 나온 경제민주화 개념이 모호해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겠다”면서 “경제민주화는 기존 법률로도 충분히 성취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정치권이 추진하고 있는 법인세 인상 등 증세 방안에 대해서도 “증세가 과연 한국 경제에 도움이 되느냐”며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이 분명하다”고 비판했다.
허 회장은 또 “차기 대통령은 기업이 잘되도록 해서 한국 경제를 살릴 수 있는 후보가 적임자”라고 밝혔다. 그는 차기 대통령 자질을 묻는 질문에 “기업이 잘돼야 고용도 사는 거고 세금 많이 내서 재정도 창출하고 국민들이 다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것 아닌가”라며 “과연 어느 대통령 후보가 그런 최선의 정책을 들고 나올 지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한민국 경제를 살리고, 대한민국을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는 후보가 적임자”라며 “현재 거론되는 후보들은 이러한 점에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서로 비슷해 판단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허 회장은 최근 불거지고 있는 ‘전경련 해체론’에 대해 “대중의 표심을 의식한 인기 발언에 일일이 대꾸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비판 받을 것은 받고 바꿔야 할 것은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국가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대기업이 국민들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된 점을 개탄했다. 그는 “대기업이 국민들로부터 존경을 받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 안타깝다”며 “일부 기업의 잘못으로 전부가 부정적 모습으로 비치고 있어, 전경련은 그런 부분을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허 회장은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평가와 관련해 “이 대통령이 경제면에선 역대 어떤 대통령보다 잘 알고 잘 했다고 생각하며, 해외에 나가 봐도 존경받는 대통령”이라고 밝혔다. 그는 “내가 기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비판하지만 대통령 입장이었다면 나도 그러지 않았을까라고 생각한다”며 “기업인으로서는 대통령 경제 정책에 여러 가지 생각이 있을 수 있지만 대통령 심중은 이해한다”고 말했다.
허 회장은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가격 정책은 비판했다.
제주/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