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임 시장’ 규모는 ‘발기 시장’에 크게 못 미친다. 남녀가 함께 책임져야 함에도 남성은 발기의 영역에서 멈추려 한다. 여성용 응급(사후) 피임약 ‘노레보’(위)와 남성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 한겨레 자료

피임약 재분류안에 여성 결정권과 건강권은 없어
‘발기 시장’은 자꾸 커진다. 국내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은 연간 1천억원대 규모로 알려져 있다. 화이자의 비아그라(382억원), 릴리 시알리스(310억원), 동아제약 자이데나(200억원)가 천하삼분을 하고 있다. 비공식적으로 유통되는 양을 고려하면 시장 규모는 훨씬 커진다. 비아그라는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1998년 출시했다. 국내에는 이듬해인 1999년 상륙했고, 발기부전 치료제의 대명사가 됐다. 비아그라는 출시 이후 10년 동안 전세계에서 18억 정이 팔려나갔다. 2천원짜리 ‘비아그라’도 나와 그런 비아그라도 ‘특허 약발’이 다했다. 지난 5월 비아그라 주성분인 ‘실데나필’의 물질특허가 풀렸다. 특허와 관련한 법적 분쟁이 있기는 하지만 복제약 수십 종이 한꺼번에 쏟아졌다. 최근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청(식약청)에서 시판 허가를 새로 받은 비아그라 복제약은 50여 종에 달한다. 가격도 싸졌다. 비아그라는 용량에 따라 1정당 1만5천~1만1천원 선에 판매됐는데, 복제약은 이보다 절반 이상 싼 5천원 이하가 주력이다. 2천원대 제품까지 나왔다. SK증권 제약 담당 애널리스트는 “복제약이 쏟아져 약가가 대폭 떨어졌다. 제약사들은 ‘블랙마켓’ 쪽 수요를 흡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주로 중국산 가짜 약이 싼값에 불법적으로 유통됐는데, 값싸면서도 안전성을 확보한 복제약이 나와 소비자를 양지로 끌어올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대 의학의 힘을 빌려, 이루어질 수 없는 관계를 살려내는 횟수는 크게 증가했다. 반면 ‘피임 시장’ 규모는 ‘발기 시장’에 크게 못 미친다. 사전(경구)피임약 시장은 한 해 140억원 정도다. 응급(사후)피임약 판매는 2007년 22억8천여만원에서 2010년 56억8천여만원, 지난해 62억여원으로 커졌다. 현대약품 관계자는 “이 가운데 우리가 판매하는 ‘노레보’가 30억원 정도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국내 콘돔 판매량은 해마다 1억 개 정도 된다.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는 유니더스로 60%를 넘는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액은 219억원인데, 콘돔 판매 비중이 70% 정도다. 피임 시장은 사전·응급 피임약, 콘돔 등을 모두 합쳐도 연간 300억~400억원대에 머문다는 뜻이다. 유니더스 박재홍 과장은 “콘돔은 가장 저렴하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피임 기구이자 의료 용품이다. 그런데도 우리나라에서는 콘돔에 대한 부정적 시각 때문에 사용이 저조한 편”이라고 했다. 한쪽은 지난 10년간 떨쳐 일어났는데, 이를 진압하는 쪽은 잠잠하거나 미약한, 불균형한 모양새다. 유니더스 쪽은 “비아그라의 출현과 콘돔 판매량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고 했다. 성관계에는 상대가 있지만, 피임은 주로 여성의 영역으로 인식되는 것이 현실이다. 남녀가 함께 책임져야 함에도 남성은 발기의 영역에서 멈추려 한다. 그렇다고 피임이 온전히 여성의 권리인 것도 아니다. 피임에는 끊임없이 국가가 개입한다. 식약청은 지난 6월7일 ‘의약품 재분류안’을 발표했다. 지난 40여 년간 의사 처방 없이도 약국에서 살 수 있던 사전피임약이 일반의약품에서 전문의약품으로 재분류됐다. 이 안이 확정되면 앞으로는 의사 처방전이 있어야 사전피임약을 살 수 있다는 얘기다. 반면 전문의약품이던 응급피임약은 의사 처방이 필요 없는 일반의약품이 됐다. 사전·응급 피임약이 서로 자리를 맞바꾼 것이다. 여성계와 약사업계 VS 의사업계 논란은 뜨겁다. 여성계와 약사업계는 ‘사전피임약이 전문약이 되면 여성의 접근성이 떨어진다. 결국 여성의 임신결정권을 빼앗게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수십 년간 전세계적으로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됐다’ ‘의료비 부담이 크게 늘어난다’ ‘사전피임약은 전문약으로 바꾸면서 응급피임약은 일반약으로 돌리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비판도 따른다. 의사업계는 약사업계와는 정반대다. 의사 처방을 받게 한 사전피임약 재분류는 환영, 처방을 없앤 응급피임약 재분류에는 반발한다. ‘응급피임약은 여성호르몬 함량이 사전피임약보다 10배는 많기 때문에 일반약으로 전환하면 위험하다’는 논리다.
| |
■ 아버지의 ‘성학대’ 그 악몽의 밤들을 잊고…
■ 동티모르에 나타난 박정희 유령
■ 아내들은 보시라! 남편사용설명서
■ 프리랜서 기자, 당신이 다 뒤집어써라?
■ [화보] 여유 만만, 런던의 오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