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평균보다 3~5배 올라
공기업 이주·투자 몰린 탓
공기업 이주·투자 몰린 탓
최근 1년간 전반적인 주택경기 침체 속에서도 강원·울산·대구 등 3대 혁신도시 아파트값이 껑충 뛰어올랐다.
8일 케이비(KB)국민은행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자료를 보면, 강원 혁신도시인 원주시는 지난 7월에 비해 아파트값이 17.2% 상승했다. 또 대구 혁신도시(동구)와 울산 혁신도시(중구)도 각각 15.6%와 11.3% 올랐다.
3대 혁신도시의 이같은 가격 상승률은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3.3%에 견줘 3~5배가량 높은 것이다. 또 서울(-2.7%)과 경기(-1.3%), 인천(-3.8%) 등 하락세를 나타낸 수도권과는 정반대의 모습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팀장은 “안정적인 구매력을 갖춘 공기업 임직원들이 이동하면서 혁신도시가 지역 주거중심지로 떠올라 기존 집값도 오르는 추세”라며 “혁신도시 호재로 지방의 부동산시장 회복세가 연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수요자뿐만 아니라 투자자들도 혁신도시에 눈을 돌리고 있다. 부동산정보 업체 ‘닥터아파트’가 국토해양부의 온나라부동산정보 통합포털 자료를 바탕으로 매입자의 거주지별 아파트 거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서울 거주자가 올해 상반기 원주에서 구매한 아파트는 모두 1441가구에 이르렀다. 이는 서울 거주자의 강원도 전체 아파트 거래량(2106가구)의 68.2%에 이른다. 또 울산 중구, 대구 동구에서도 105가구와 46가구를 각각 사들였다. 중구의 거래량은 울산광역시 5개구 가운데 남구에 이어 2번째로 많다. 동구도 대구광역시 8개구 중 3번째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아르바이트 시급 5천원 안돼요?”
■ ‘붕대 의상·수영복 공약…’ 올림픽 아나운서 선정성 논란
■ 어느 재벌회장님의 민망한 ‘땅 한평’ 소송
■ 대치동 14층 아파트 “배달원은 승강기 타지마”
■ [화보] ‘자매는 예뻤다’ 싱크로 듀엣 박현하-박현선
■ 박근혜 “아르바이트 시급 5천원 안돼요?”
■ ‘붕대 의상·수영복 공약…’ 올림픽 아나운서 선정성 논란
■ 어느 재벌회장님의 민망한 ‘땅 한평’ 소송
■ 대치동 14층 아파트 “배달원은 승강기 타지마”
■ [화보] ‘자매는 예뻤다’ 싱크로 듀엣 박현하-박현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