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환주식회사 최용권 회장 일가의 횡령·탈세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 종로구 운니동의 이 회사 본사 앞으로 지난달 25일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최용권 삼환 회장 ‘대규모 비자금’ 의혹
삼환노조 등 “차명계좌 25개…비자금 100억 훌쩍 넘을 것”
노조, 13년전에 천억대 비자금 폭로…수사 흐지부지
외국에 수천억 비밀재산 의혹 커지자 해외지사 폐쇄
최 회
삼환노조 등 “차명계좌 25개…비자금 100억 훌쩍 넘을 것”
노조, 13년전에 천억대 비자금 폭로…수사 흐지부지
외국에 수천억 비밀재산 의혹 커지자 해외지사 폐쇄
최 회
삼환기업 최용권 회장이 100억대 비자금을 운영하고 수천억대 재산을 보유하고도 자신의 독단·불법경영으로 위기에 처한 회사를 위해 단 몇십억원의 사재출연조차 거부하고 법정관리라는 최악의 길을 선택한 것은 대기업 부실 경영주의 전형적인 ‘도덕적 해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 회장의 비자금 관리인인 손아무개 삼환기업 경영관리팀 차장의 고발장을 보면 총수일가의 비자금과 차명계좌가 매우 오래된 고질병이었음을 알 수 있다. 손 전 차장은 자신이 삼환에서 근무한 15년 중에서 10년 이상을 최 회장의 비자금 관리를 맡았다고 털어놨다. 삼환은 13년 전에도 비자금 의혹이 터졌었다.
삼환기업 노조는 지난 1999년 7월 회사 경영진이 건설현장 노무비와 하도급공사 금액 등을 실제보다 부풀리는 수법으로 10년간 1000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폭로했다. 최 회장이 당시 해고자 복직 등 노조의 요구를 전폭 수용하며 무마에 나섰고, 사정당국도 수사를 외면해 비자금 의혹은 흐지부지된채 넘어갔다. 삼환의 한 임원은 “차명주식은 1973년 상장 당시부터 관리해온 것이어서 최 회장 일가의 비자금 및 차명계좌 역사는 최소 40년은 됐다”고 털어놨다.
삼환 안팎에서는 최 회장 일가의 비자금이 손 전 차장의 고발로 드러난 액수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삼환기업 노조는 “손 전 차장이 밝힌 최 회장의 차명계좌가 15개이지만, 노조가 파악한 차명계좌는 삼환기업과 신민저축은행을 합쳐 25~26개에 달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읗니라 국외에도 대규모 비자금을 관리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삼환의 한 관계자는 “최 회장이 오래 전부터 국외 건설현장의 공사대금 가운데 일부를 빼돌려 미국과 스위스 등지에 수천억원대의 비밀 재산을 관리하고 있다는 얘기가 파다하다”고 귀띔했다. <한겨레>가 최 회장일가의 독단·불법경영을 보도한 이후인 7월말과 8월초에, 삼환은 최 회장의 국외재산 관리창구로 알려진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사와 일본 도쿄 지사를 각각 전격 폐쇄했다.
최 회장은 비자금 의혹에 대해 “(삼환의 창업주이자 부친인 최종환) 명예회장 때부터 내려온 개인자금으로 회사 돈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손 전 차장은 고발장에서 “최 회장의 횡령과 배임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자료를 갖고 있다”면서 “(자신의 횡령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에서도 최 회장의 차명계좌의 존재를 언급했고, 최 회장과 회사도 차명계좌의 존재를 인정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손 전 차장은 자신이 관리한 총수 일가의 투자자금이 모두 920억원대에 달한다고 밝혔다. 삼환 안팎에서는 최 회장 일가의 실제 재산은 이보다 훨씬 많아 최대 1조원대에 이른다는 얘기가 많다. 삼환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이후 회사가 심한 자금난에 봉착해 은행대출을 추진했는데, 한 시중은행에서 ‘최 회장의 은행 예치금만 1800억원에 달하는데 왜 은행에게 손을 벌리냐’고 말해 회사 사람들이 깜짝놀랐다”고 귀띔했다. 삼환의 또 다른 관계자도 “최 회장의 연간 금융소득 관련 세금이 30억~40억원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전체 금융자산이 2천억원대에 달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채권단과 금융감독 당국은 지난 7월11일 삼환기업이 자금난에 봉착해 워크아웃을 신청한 뒤, 최 회장에게 70억~80억원의 사재출연을 하면 회사를 조속히 정상화시킬 수 있다고 권유했다. 이에 대해 최 회장은 ‘나에게 그런 돈이 어디 있느냐’며 거절하고, 아예 워크아웃 대신 법정관리를 신청하도록 지시했다.
삼환의 한 직원은 “수천억원대 재산을 보유한 최 회장이 독단·불법경영으로 회사를 부실의 나락에 빠뜨려 놓고도 단 몇십억원이 아까워 10여개 계열사 직원들과 700여개 협력업체를 모두 구조조정과 연쇄 부도위기로 몰아넣은 것은 ‘도덕적 해이’의 극치”라고 말했다. 노조도 “최 회장 일가는 삼환기업과 계열사를 이용해 만든 비자금 등 불법행위와 도덕적 해이에 대한 책임으로 1천억원 이상의 사재출연을 하고 조속히 경영일선에서 물러나라”고 요구했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기로에 놓인 통합진보당 정진후-서기호 의원의 엇갈린 선택
■ 장준하 선생 타살의혹 보도에 박근혜쪽 ‘설마 발목 잡힐까’
■ 제자리 선두 문재인…상승세 손학규…초조한 김두관
■ 호주 담뱃갑은 끔찍해도 괜찮아
■ 병어 1마리 9800원…생선값도 비상
■ 내가 구자철 선수에게 푹 빠진 이유
■ [화보] 연재가 돌아왔어요!
최용권 회장
■ 기로에 놓인 통합진보당 정진후-서기호 의원의 엇갈린 선택
■ 장준하 선생 타살의혹 보도에 박근혜쪽 ‘설마 발목 잡힐까’
■ 제자리 선두 문재인…상승세 손학규…초조한 김두관
■ 호주 담뱃갑은 끔찍해도 괜찮아
■ 병어 1마리 9800원…생선값도 비상
■ 내가 구자철 선수에게 푹 빠진 이유
■ [화보] 연재가 돌아왔어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