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환기업 상거래 채권단협의회의 대표인 배종두 미래스틸 사장이 지난 14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한겨레신문사에서 부도 위기에 내몰린 협력업체들의 절박한 사정을 털어놓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삼환 상거래채권단협의회 배종두 대표
삼환기업 법정관리 여파로
공사대금 등 1300억 못 받아
이대론 한달 버티기도 어려워 ‘독단’ 최용권 회장 일가에
경영 부실의 책임 물어야
비자금 의혹 수사도 조속히 총수일가·경영진 교체가 먼저
종업원지주사 전환도 강구를 “협력업체 사장 중에는 아예 유서를 써갖고 다니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삼환기업 상거래 채권단협의회의 대표인 배종두(48·사진) 미래스틸 사장은 16일 삼환기업의 법정관리 여파로 연쇄 부도위기에 몰린 협력업체들의 절박한 사정을 토로했다. 700여개에 달하는 협력업체들이 공사하청이나 자재대금으로 삼환에게 받아야 할 돈은 13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삼환의 법정관리로 채권·채무가 동결되면서 대금지급이 끊겨 일부 협력업체는 이미 부도가 났고, 나머지도 한 달을 버티기 힘든 형편이다. 배 사장 등 협력업체 대표들은 지난 14일 삼환기업과 만났다. 하지만 회사 쪽은 아무런 지원대책도 내놓지 않았다. 배 대표는 “분노한 협력업체 중에서는 차라리 삼환을 파산시키라는 말까지 나왔다”면서 “이번 주말까지 대책을 내놓으라고 요구했다”고 허탈해했다. 최근 삼환기업이 알짜배기로 불리는 서울 소공동 부지를 팔아 1100억원 정도의 여유자금을 마련한 점에 비춰볼 때 의외로 받아들여졌다. 배 사장은 “삼환은 그 돈을 회사 운영자금으로만 사용하겠다고 한다”면서 “협력업체는 그냥 죽으라는 얘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법정관리를 받고 있는 삼환기업의 모든 자금집행은 법원의 관리를 받는다. 하지만 법원도 협력업체 대책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말이 없다고 한다. 삼환기업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은 지난 7월16일이다. 7월말까지 돌아올 결제자금이 130억원에 달하는데 회사자금은 50억원에 불과해 다른 방법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하지만 총수인 최용권 회장의 개인재산은 최소 수천억원대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 금융감독 당국과 채권단은 최 회장에게 부족자금만큼 사재출연을 하면 법정관리를 면할 수 있다고 권했지만 거절당했다. 배 사장은 “건설업계에서는 최 회장의 재산이 조단위라는 얘기도 있다”면서 “그런데도 단 몇십억원이 아까워, 아버지가 만든 66년된 회사를 법정관리로 몰아갔다”고 혀를 찼다. 협력업체들은 한때 도급순위 4위의 건실한 건설업체였던 삼환기업이 불과 몇년새 최악의 상황에 직면한 이유를 무엇이라고 생각할까? 배 사장은 “결국 회사를 부실의 나락에 빠뜨린 것은 경영진 책임”이라면서 “최용권 회장 일가의 독단과 불법 경영도 심각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배 사장은 회사의 한 전직 간부가 최 회장의 비자금 운용 사실을 지난 3월 검찰에 고발한 건에 대해서는 “검찰이 아직 수사를 하지 않고 있는 게 말이 되냐”면서 “최근 정치권이 앞다퉈 얘기하는 ‘경제 민주화’는 무슨 뜬구름 잡는 얘기가 아니라 대기업 총수의 불법 비리에 대해 성역없는 수사를 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배 사장은 “일단 숨을 쉴 수 있도록 대금결제를 일부라도 해줘야 한다”면서 “이대로 놔두면 모두 부도가 난다”고 절박하게 말했다. 협력업체들은 최용권 회장 집 앞에서 항의 집회를 할 계획이었지만 무산되었다. 회사에서 선수를 쳐서 한 달간 사전 집회신고를 해놨기 때문이다. 배 사장은 “대신 창업자인 최종환 명예회장 집 앞에서 집회를 가질 계획”이라고 결의를 다졌다. 협력업체들은 삼환기업을 회생시키려면 근본적 조처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배 사장은 “총수일가를 포함해 현 경영진의 교체 요구를 하고 있는 노조와 뜻을 같이한다”면서 “앞으로 건실한 기업이 삼환을 인수하거나, 아예 종업원지주회사로 전환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GS건설, 현대미술관 노동자 유족들 동향 감시했다”
■ 컨택터스의 SJM 노조원 폭행 당시 경찰 무전기록 보니…
■ 한화 내부문서엔…“김승연 회장은 신의 경지”
■ ‘강남 물바다’ 3년 기다려야 해결
■ “김수현씨 키스 소리요? 이 팔목에서 나왔죠”
■ 망할려고 별짓 다할수록 ‘대박’ 나는 마트
■ [화보] 장준하 선생을 기억하며
공사대금 등 1300억 못 받아
이대론 한달 버티기도 어려워 ‘독단’ 최용권 회장 일가에
경영 부실의 책임 물어야
비자금 의혹 수사도 조속히 총수일가·경영진 교체가 먼저
종업원지주사 전환도 강구를 “협력업체 사장 중에는 아예 유서를 써갖고 다니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삼환기업 상거래 채권단협의회의 대표인 배종두(48·사진) 미래스틸 사장은 16일 삼환기업의 법정관리 여파로 연쇄 부도위기에 몰린 협력업체들의 절박한 사정을 토로했다. 700여개에 달하는 협력업체들이 공사하청이나 자재대금으로 삼환에게 받아야 할 돈은 13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삼환의 법정관리로 채권·채무가 동결되면서 대금지급이 끊겨 일부 협력업체는 이미 부도가 났고, 나머지도 한 달을 버티기 힘든 형편이다. 배 사장 등 협력업체 대표들은 지난 14일 삼환기업과 만났다. 하지만 회사 쪽은 아무런 지원대책도 내놓지 않았다. 배 대표는 “분노한 협력업체 중에서는 차라리 삼환을 파산시키라는 말까지 나왔다”면서 “이번 주말까지 대책을 내놓으라고 요구했다”고 허탈해했다. 최근 삼환기업이 알짜배기로 불리는 서울 소공동 부지를 팔아 1100억원 정도의 여유자금을 마련한 점에 비춰볼 때 의외로 받아들여졌다. 배 사장은 “삼환은 그 돈을 회사 운영자금으로만 사용하겠다고 한다”면서 “협력업체는 그냥 죽으라는 얘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법정관리를 받고 있는 삼환기업의 모든 자금집행은 법원의 관리를 받는다. 하지만 법원도 협력업체 대책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말이 없다고 한다. 삼환기업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은 지난 7월16일이다. 7월말까지 돌아올 결제자금이 130억원에 달하는데 회사자금은 50억원에 불과해 다른 방법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하지만 총수인 최용권 회장의 개인재산은 최소 수천억원대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 금융감독 당국과 채권단은 최 회장에게 부족자금만큼 사재출연을 하면 법정관리를 면할 수 있다고 권했지만 거절당했다. 배 사장은 “건설업계에서는 최 회장의 재산이 조단위라는 얘기도 있다”면서 “그런데도 단 몇십억원이 아까워, 아버지가 만든 66년된 회사를 법정관리로 몰아갔다”고 혀를 찼다. 협력업체들은 한때 도급순위 4위의 건실한 건설업체였던 삼환기업이 불과 몇년새 최악의 상황에 직면한 이유를 무엇이라고 생각할까? 배 사장은 “결국 회사를 부실의 나락에 빠뜨린 것은 경영진 책임”이라면서 “최용권 회장 일가의 독단과 불법 경영도 심각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배 사장은 회사의 한 전직 간부가 최 회장의 비자금 운용 사실을 지난 3월 검찰에 고발한 건에 대해서는 “검찰이 아직 수사를 하지 않고 있는 게 말이 되냐”면서 “최근 정치권이 앞다퉈 얘기하는 ‘경제 민주화’는 무슨 뜬구름 잡는 얘기가 아니라 대기업 총수의 불법 비리에 대해 성역없는 수사를 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배 사장은 “일단 숨을 쉴 수 있도록 대금결제를 일부라도 해줘야 한다”면서 “이대로 놔두면 모두 부도가 난다”고 절박하게 말했다. 협력업체들은 최용권 회장 집 앞에서 항의 집회를 할 계획이었지만 무산되었다. 회사에서 선수를 쳐서 한 달간 사전 집회신고를 해놨기 때문이다. 배 사장은 “대신 창업자인 최종환 명예회장 집 앞에서 집회를 가질 계획”이라고 결의를 다졌다. 협력업체들은 삼환기업을 회생시키려면 근본적 조처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배 사장은 “총수일가를 포함해 현 경영진의 교체 요구를 하고 있는 노조와 뜻을 같이한다”면서 “앞으로 건실한 기업이 삼환을 인수하거나, 아예 종업원지주회사로 전환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GS건설, 현대미술관 노동자 유족들 동향 감시했다”
■ 컨택터스의 SJM 노조원 폭행 당시 경찰 무전기록 보니…
■ 한화 내부문서엔…“김승연 회장은 신의 경지”
■ ‘강남 물바다’ 3년 기다려야 해결
■ “김수현씨 키스 소리요? 이 팔목에서 나왔죠”
■ 망할려고 별짓 다할수록 ‘대박’ 나는 마트
■ [화보] 장준하 선생을 기억하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