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사람 l 김중겸 한국전력 사장
전기료 인상 등 정부기조와 충돌
전력거래소와 소송…교체설 돌아
오늘로 취임 1주년을 맞는 김중겸(사진) 한국전력 사장이 아직 임기를 2년이나 남긴 상황에서 교체설에 시달리는 등 위기를 겪고 있다. 그는 경북 상주 출신으로 현대건설에 35년간 몸담아온 대표적인 ‘엠비(MB)맨’으로 손꼽혀온 인물이다. ‘낙하산’ 논란을 무릅쓰고 사장에 취임한 그가 왜 ‘미운오리새끼’가 된 것일까? 우선 한전의 적자가 심화될 수밖에 없는 원가 이하의 전기요금 체계에서 한전의 수익성 개선에 집중하다가 물가안정에 ‘올인’한 이명박 정부와 대립각을 세운 것이 배경으로 분석된다. 전임 김쌍수 사장(엘지전자 부회장 출신)에 이어 한전 역사상 두번째 민간 출신 최고경영자로 취임한 김 사장은 전기요금을 지난해 12월 평균 4.5%, 지난 8월 4.9% 인상했다. 앞서 김 사장은 취임하면서 한전의 부채비율을 100% 이하로 끌어내리는 것을 중장기 목표로 내세운 바 있다. 이 과정에서 한전은 두자릿수 인상률을 내세웠고, 정부는 한전에 불편한 심경을 내비치기도 했다. 또 최근 전력거래소를 상대로 4조원대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검토하면서 ‘괘씸죄’에 걸렸다는 시각도 많다. 한전의 한 관계자는 “(경질설은) 전기요금 잇단 인상과 소송 등 최근의 행보에 대한 경고성으로 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사장의 이런 행보는 전임 사장이 전기요금 인상 실패로 소액주주들로부터 소송을 당한 상황과도 무관치 않다. 김 사장은 취임 뒤 내부 반발을 누르고 이명박 정부의 정책기조에 발맞춰 17개 나라를 돌며 발전사업 해외 진출에 힘을 쏟고 경영합리화 등 ‘허리띠 졸라매기’에 집중했다. 하지만 민간 시이오(CEO)로서 ‘시장형 공기업’인 한전의 적자 개선에 손을 대자 정부와 충돌하게 된 것이다. 한전의 올 상반기 누적적자는 10조9000억원에 이른다. 공기업이면서 주주들의 이익을 고려하고, 수익도 내야 하는 상장기업이라는 모순된 위치가 계속되는 한 앞으로의 한전 사장도 김 사장과 비슷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많다. 전력 업계 관계자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구조에서 사장에 취임해 뭔가 하려다 보니 불협화음이 나는 것 아니겠느냐”며 “한전이 적자를 짊어지고 민자발전사 등은 수익을 내는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선관위 “안랩 백신 무료 배포, 선거법 위반 아니다”
■ 안철수 중심으로 헤쳐모여?
■ 태풍 불어 배 떨어지면 농민 책임?
■ 이방인의 ‘리틀 시카고’ 그곳에 사람이 산다
■ 반미 시위 촉발시킨 동영상 제작자 “영화 만든 것 후회안해”
■ “집안일 많이 하며 죄악을 씻고 있어요”
■ [화보] 인혁당 사건 피해 유족들의 눈물
오늘로 취임 1주년을 맞는 김중겸(사진) 한국전력 사장이 아직 임기를 2년이나 남긴 상황에서 교체설에 시달리는 등 위기를 겪고 있다. 그는 경북 상주 출신으로 현대건설에 35년간 몸담아온 대표적인 ‘엠비(MB)맨’으로 손꼽혀온 인물이다. ‘낙하산’ 논란을 무릅쓰고 사장에 취임한 그가 왜 ‘미운오리새끼’가 된 것일까? 우선 한전의 적자가 심화될 수밖에 없는 원가 이하의 전기요금 체계에서 한전의 수익성 개선에 집중하다가 물가안정에 ‘올인’한 이명박 정부와 대립각을 세운 것이 배경으로 분석된다. 전임 김쌍수 사장(엘지전자 부회장 출신)에 이어 한전 역사상 두번째 민간 출신 최고경영자로 취임한 김 사장은 전기요금을 지난해 12월 평균 4.5%, 지난 8월 4.9% 인상했다. 앞서 김 사장은 취임하면서 한전의 부채비율을 100% 이하로 끌어내리는 것을 중장기 목표로 내세운 바 있다. 이 과정에서 한전은 두자릿수 인상률을 내세웠고, 정부는 한전에 불편한 심경을 내비치기도 했다. 또 최근 전력거래소를 상대로 4조원대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검토하면서 ‘괘씸죄’에 걸렸다는 시각도 많다. 한전의 한 관계자는 “(경질설은) 전기요금 잇단 인상과 소송 등 최근의 행보에 대한 경고성으로 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사장의 이런 행보는 전임 사장이 전기요금 인상 실패로 소액주주들로부터 소송을 당한 상황과도 무관치 않다. 김 사장은 취임 뒤 내부 반발을 누르고 이명박 정부의 정책기조에 발맞춰 17개 나라를 돌며 발전사업 해외 진출에 힘을 쏟고 경영합리화 등 ‘허리띠 졸라매기’에 집중했다. 하지만 민간 시이오(CEO)로서 ‘시장형 공기업’인 한전의 적자 개선에 손을 대자 정부와 충돌하게 된 것이다. 한전의 올 상반기 누적적자는 10조9000억원에 이른다. 공기업이면서 주주들의 이익을 고려하고, 수익도 내야 하는 상장기업이라는 모순된 위치가 계속되는 한 앞으로의 한전 사장도 김 사장과 비슷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많다. 전력 업계 관계자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구조에서 사장에 취임해 뭔가 하려다 보니 불협화음이 나는 것 아니겠느냐”며 “한전이 적자를 짊어지고 민자발전사 등은 수익을 내는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선관위 “안랩 백신 무료 배포, 선거법 위반 아니다”
■ 안철수 중심으로 헤쳐모여?
■ 태풍 불어 배 떨어지면 농민 책임?
■ 이방인의 ‘리틀 시카고’ 그곳에 사람이 산다
■ 반미 시위 촉발시킨 동영상 제작자 “영화 만든 것 후회안해”
■ “집안일 많이 하며 죄악을 씻고 있어요”
■ [화보] 인혁당 사건 피해 유족들의 눈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