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엘지전자 직원이 노트북과 태블릿피시를 결합한 ‘탭북’(H160·왼쪽)과 터치 스크린 기반의 일체형 피시(V325)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들은 모두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8’ 운영체제를 깔았다. 엘지전자 제공
LG, 키보드 달린 ‘탭북’
삼성, ‘아티브’ 스마트 피시
MS, 키보드 탈부착 ‘서피스’
26일 ‘윈도8 제품’ 동시출시
삼성, ‘아티브’ 스마트 피시
MS, 키보드 탈부착 ‘서피스’
26일 ‘윈도8 제품’ 동시출시
최근 몇 년 새 세상을 바꾼 건 ‘터치’다. 전세계 10억 인구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된 것도 터치가 제공하는 편리함 덕분이다. 아이오에스(iOS)와 안드로이드의 모바일 터치에 밀려온 피시(PC)의 강자 마이크로소프트도 차세대 운영체제(OS) 윈도8에 터치를 전면 도입했다. 윈도8의 새로운 가능성에 삼성전자·엘지(LG)전자 등 제조업체들도 배팅하고 나섰다. 윈도8이 정식 출시되는 26일 일제히 윈도8을 깐 피시와 모바일 기기가 출시된다.
엘지전자는 22일 노트북과 태블릿피시를 결합한 이른바 ‘탭북’(H160)과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한 일체형 피시(V325)를 26일부터 판매한다고 밝혔다. H160은 11.6인치 크기로 터치스크린으로 태블릿처럼 이용하다 ‘오토슬라이딩’ 단추를 누르면 화면이 비스듬히 올라가고 자판이 나와 노트북처럼 쓸 수 있다. 엘지는 태블릿과 노트북을 합쳐 탭북이라고 이름지었다. 이 제품은 최대 10시간 이용할 수 있는 배터리를 장착했다. 가격은 전용 파우치를 포함해 110만원대다.
23인치 화면의 V325는 터치 기반 앱을 쓸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별도 전원을 연결해 텔레비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제품은 멀티태스킹 기능을 향상시킨 3세대 ‘코어 i5’ 프로세서를 탑재했다. 가격은 사양에 따라 150만~210만원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8월 말 독일 국제가전전시회(IFA)를 앞두고 처음 공개했던 윈도8 기반의 ‘아티브’ 스마트 피시(PC)를 24일 미디어데이를 통해 국내에 선보이고 26일 출시한다. 아티브 시리즈는 11.6인치의 아티브 스마트 피시와 10.1인치의 아티브탭으로 크게 구분된다. 아티브 스마트 피시는 태블릿과 노트북을 결합한 형식의 제품으로, 엘지 제품과 달리 자판과 화면이 착탈식으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게 돼 있다.
윈도8을 만든 마이크로소프트도 같은 날 미국에서 자체 제작한 태블릿피시 ‘서피스’를 공개할 예정이다. 서피스 역시 자판이 달린 커버를 선택할 수 있어 스마트 피시와 같은 제품군에 포함된다. 이미 시장의 주도권을 쥔 애플 또한 오는 23일(미국시각) ‘아이패드 미니’(가칭)를 발표할 예정이어서 하반기 태블릿피시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윈도8이 피시 시장의 부흥을 일굴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스티브 발머 마이크로소프트 최고경영자는 “앞으로 윈도폰, 스카이프 등 모든 마이크로소프트의 생태계가 윈도8에 맞춰 변화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삼성과 엘지 역시 기존 피시 시장의 열위를 만회하는 기회로 삼으려 한다. 삼성은 피시 시장에서 전세계 7~8위권이고, 엘지는 10위권 밖이다. 아울러 삼성은 스마트폰 1위의 여세를 태블릿과 노트북의 결합을 통해 이어가야 하는 한편, 애플의 태블릿 시장을 공략함과 동시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의존도를 줄여야 하는 숙명도 안고 있다. 엘지전자는 기존 스마트폰 시장 추격전략의 실패의 뼈아픈 교훈을 발판으로 윈도8에 재빨리 대응하고 있다는 평가가 업계에서 나온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최필립 “물러날 뜻 없다” 완강…‘박근혜 해법’ 원점으로
■ 박근혜 “정수장학회 강압 없었다”→“인정 안했다” 실언 연발
■ 포스코 ‘동반성장 우수’ 받으려 서류조작?
■ 청와대, 이시형씨가 낼 땅값 줄이려 집주인에 “공유필지 값 낮춰라” 요구
■ ‘민간사찰’ 총리실 지원관실 요구로 4대강 인터뷰 연구위원 징계받았다
■ 야근은 밥먹듯, 월급은 띄엄띄엄…“욕만 나와” “너도 그래?”
■ 똥을 흙에 파묻는 고양이, 깔끔해서 그럴까?
■ 최필립 “물러날 뜻 없다” 완강…‘박근혜 해법’ 원점으로
■ 박근혜 “정수장학회 강압 없었다”→“인정 안했다” 실언 연발
■ 포스코 ‘동반성장 우수’ 받으려 서류조작?
■ 청와대, 이시형씨가 낼 땅값 줄이려 집주인에 “공유필지 값 낮춰라” 요구
■ ‘민간사찰’ 총리실 지원관실 요구로 4대강 인터뷰 연구위원 징계받았다
■ 야근은 밥먹듯, 월급은 띄엄띄엄…“욕만 나와” “너도 그래?”
■ 똥을 흙에 파묻는 고양이, 깔끔해서 그럴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