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I 또 떨어져…3년 반만에 최저
기업들이 느끼는 경기가 계속 나빠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다달이 발표하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두달 연속 떨어져 4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한은이 29일 발표한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 및 경제심리지수(ESI)’를 보면, 제조업의 업황지수는 68로 전달보다 1포인트 떨어져 지난 2009년 4월(67) 이후 가장 낮았다. 11월 전망지수도 전달보다 2포인트 떨어져 70을 기록했다. 석달째 하락세다. 기업경기실사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해 그 이상이면 기업의 경제심리가 좋다는 것이고 100을 밑돌면 그 반대다.
제조업 가운데 중소기업 업황지수(67)는 전달보다 3포인트 더 떨어진 반면에 대기업 지수(69)는 1포인트 올랐다. 또 수출기업 업황지수(72)도 3포인트 떨어졌고 내수기업(66)은 1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여전히 기준치를 한참 밑도는 수준이어서 별 의미 없는 반등이라고 한은 쪽은 설명했다.
기업 체감경기 익화로 전체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심리도 급속히 얼어붙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경제심리지수는 9월보다 2포인트 떨어진 87을 기록해 지난 4월 104를 기록한 뒤 여섯달째 미끄럼질했다. 이 지수는 기업경기실사지수와 소비자심리지수(CSI)의 일부 항목을 합성한 지표이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삼우 폭풍성장 뒤에는 ‘사돈’ 현대차가 있다
■ 성폭행 당한 딸 아빠에게 선처 호소를?
■ 문재인·안철수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 검토
■ 말바꾼 대통령 아들 6억 배달시점도 ‘수상’
■ “제주올레 성공 이유는 역설적으로 한국이 ‘피로 사회’이기 때문”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 삼우 폭풍성장 뒤에는 ‘사돈’ 현대차가 있다
■ 성폭행 당한 딸 아빠에게 선처 호소를?
■ 문재인·안철수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 검토
■ 말바꾼 대통령 아들 6억 배달시점도 ‘수상’
■ “제주올레 성공 이유는 역설적으로 한국이 ‘피로 사회’이기 때문”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