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위원회, 프랜차이즈 규제 계획
마트 등 직영 빵집은 제외해 형평성 논란
제과협회 “프랜차이즈 규제에 역량 집중”
마트 등 직영 빵집은 제외해 형평성 논란
제과협회 “프랜차이즈 규제에 역량 집중”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을 규제하기 위해 제과업을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지정하려는 논의가 진행되고 가운데, 유통 대기업의 직영 빵집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해 논란이 일고 있다. 프랜차이즈 제빵업계에선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반발하고 있지만, 동네빵집 모임인 대한제과협회 쪽에선 “중요한 건 프랜차이즈 빵집을 규제하는 것이지, 대형마트와 백화점이 운영하는 빵집은 크게 문제될 게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21일 제과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동반성장위원회는 조만간 실무위원회를 열어 대한제과협회가 신청한 제과업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여부를 결정한 뒤 27일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동반성장위는 제과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해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의 신규 출점을 금지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아가고 있다.
동반성장위는 롯데·신세계·홈플러스 등 유통대기업이 직영으로 대형마트나 기업형슈퍼마켓(SSM)에서 운영 중인 빵집은 논의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현재 이마트는 111개 매장에 데이앤데이 빵집을, 홈플러스는 130개 매장에 아티제 블랑제리를, 롯데마트는 97개 매장에 보네스뻬를 운영하고 있으며 대형 유통업체의 기업형슈퍼마켓(SSM) 463곳에도 직영 빵집이 있다. 백화점에 입점해 있는 직영 빵집도 120여개로 유통 대기업이 운영하는 베이커리는 총 910여곳에 이른다. 유통 대기업이 빠진 데 대해 동반성장위 쪽은 제과협회의 신청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파리바게뜨 관계자는 “유통 대기업이 직영 빵집을 하는 것은 문제 삼지 않고 우리 같은 프랜차이즈 제빵업체만 규제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 제과업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한다면, 당연히 유통 대기업이 하는 베이커리 사업도 규제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대해 김서중 대한제과협회장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에서 직영으로 운영하는 빵집 때문에 동네 빵집이 보는 피해는 아직 크지 않다. 동네 빵집들이 문제 삼는 것은 파리바게뜨를 비롯한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이기 때문에 이를 규제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베이비붐 세대…‘불안감’이 그들을 움직였다
■ 한승수·현명관·김무성 한두다리 건너 당선인 재계 인맥’
■ “민주 단독집권 힘들어 야권 재편뒤 연대해야”
■ ‘유서대필’ 재심공판 강기훈씨, 20년만에 법정서 목메인 호소
■ 문재인 “개인 꿈 접지만 야권 역량강화 도울것”
■ “당선인 절대 민주적 방식 벗어나지 않을것”
■ [화보] 문재인 담쟁이캠프 ‘눈물의 해단식’
■ 베이비붐 세대…‘불안감’이 그들을 움직였다
■ 한승수·현명관·김무성 한두다리 건너 당선인 재계 인맥’
■ “민주 단독집권 힘들어 야권 재편뒤 연대해야”
■ ‘유서대필’ 재심공판 강기훈씨, 20년만에 법정서 목메인 호소
■ 문재인 “개인 꿈 접지만 야권 역량강화 도울것”
■ “당선인 절대 민주적 방식 벗어나지 않을것”
■ [화보] 문재인 담쟁이캠프 ‘눈물의 해단식’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