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맥주의 경우 수입 맥주와 한국 맥주의 가격 차이는 3~5배에 달한다.
호프집 생맥주 어쩐지 양 적다 했더니…
주문량보다 최대 23% 부족
500cc 실제로 재보니 435cc
주문량보다 최대 23% 부족
500cc 실제로 재보니 435cc
시중 맥줏집들이 고객이 주문한 생맥주 양보다 최대 23%나 적게 맥주잔에 담아 내놓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00㏄와 3000㏄용 생맥주 용기는 실제 용량이 1700㏄와 2700㏄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30일 “서울 6개 지역(강남역·신림역·신천역·홍대역·종각역·혜화역 인근) 30개 맥줏집의 생맥주 실제 제공량을 측정한 결과, 주문량 대비 평균 13~23% 적게 나왔다”고 밝혔다. 주문량별로 실제 제공된 평균치를 보면 500㏄ 주문 시에는 435㏄, 2000㏄에는 1544㏄, 3000㏄에는 2309㏄가 나왔다. 주문량 대비 평균 제공률이 500㏄는 87%, 2000㏄는 77.2%, 3000㏄는 77%에 불과한 것이다. 생맥주의 출고량은 지난해 30만㎘로 전체 맥주 출고량의 16.3%를 차지했다. 소비자원은 “생맥주 판매업소마다 제공량의 편차가 컸으며, 3000㏄를 주문하면 판매업소 간 제공량 차이가 최대 460㏄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맥줏집에서 사용하는 생맥주 잔은 대부분 오비맥주와 하이트진로가 무상으로 공급하고 있는데, 생맥주 잔의 용량 자체가 실제 주문 용량보다 작은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원이 생맥주 잔 용량을 측정해보니, 500㏄잔은 실제 용량과 일치했으나 2000㏄와 3000㏄ 용기는 실제 1700㏄와 2700㏄밖에 되지 않았다. 생맥주를 거품 없이 가득 채워 고객에 준다고 해도 주문량보다 300㏄가 부족할 수밖에 없는 셈이다.
소비자원은 이런 결과를 토대로 생맥주 주문량과 실제 제공량의 차이를 개선하도록 관련 업계에 촉구했고, 이에 맥주 제조사들은 내년 1월부터 용량선이 새겨진 생맥주 잔을 맥줏집과 치킨집 등에 보급하기로 했다. 500㏄ 잔은 450㏄, 1700㏄와 2700㏄ 용기는 각각 1500㏄와 2500㏄ 위치에 용량선을 표시해 고객들이 생맥주의 양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소비자원은 “판매업소는 용량선이 표시된 생맥주 잔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500·2000·3000㏄ 대신 450·1500·2500㏄ 등으로 정확한 제공량이 표기된 메뉴판을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아이폰5·페북, 올 IT기술 10대 실패 장식?
■ 불국사가 통일신라 건축물? 박정희 정권 ‘상상력의 산물’
■ “말한 것 외에 쓰지말라”는 박근혜 대변인
■ 음식물쓰레기통 앞에 버려진 투표함. 왜?
■ 김치는 쭈~욱 찢어 먹어야 정말 제맛인가요?
■ 박근혜 당선인님, 대탕평에 MBC·쌍용도 있나요?
■ [사설] ‘불통과 무지’, 박 당선인 인사 걱정된다
■ 아이폰5·페북, 올 IT기술 10대 실패 장식?
■ 불국사가 통일신라 건축물? 박정희 정권 ‘상상력의 산물’
■ “말한 것 외에 쓰지말라”는 박근혜 대변인
■ 음식물쓰레기통 앞에 버려진 투표함. 왜?
■ 김치는 쭈~욱 찢어 먹어야 정말 제맛인가요?
■ 박근혜 당선인님, 대탕평에 MBC·쌍용도 있나요?
■ [사설] ‘불통과 무지’, 박 당선인 인사 걱정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