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원전 산업 혁신방안’
원전부품도 한수원 본사서 구매
원전부품도 한수원 본사서 구매
정부가 앞으로는 원자력발전소 고장 발생시 재가동에 급급하기보다 재발을 막는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에 힘을 쏟고, 정비기간도 대폭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식경제부는 이런 내용을 비롯해 원전 품질관리시스템 및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조직 개선 등의 방안을 담은 ‘원전 산업 종합 혁신방안’을 8일 발표했다. 지경부는 “그동안 원전 이용률 극대화를 위해 정비기간 최소화에 주력하다 보니 충분한 정비가 이뤄지지 못했다. 고장 발생 시에도 근본적인 원인 분석보다는 문제설비 즉시 교체와 재가동에 주력하다 보니 유사한 고장이 빈발했다”고 원전 운영의 문제점을 돌아봤다. 현재 30일인 계획예방 정비기간도 노후설비 개선, 검증시험 등을 고려했을 때 부족하다는 판단이다.
이밖에 지경부는 원전 부품 품질서류 위조 사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그동안 지역 발전소에서 주관하던 구매업무를 본사로 옮기고, 해외 전문기관의 점검제도 등을 도입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지하 “‘막말’ 윤창중 대변인으로 잘 앉혔다” 논란
■ ‘잘 나가는’ 서태지·싸이의 성공 뒤엔 늘 이 사람이…
■ 현직 경찰관 낀 ‘여수 금고털이’ 피해 현금 발견
■ “어젯밤 그놈은 차마 못잊겠다” 조선 춘화도의 외출
■ ‘인민 루니’ 정대세 입국 “수원에서 우승하고 싶다”
■ 김지하 “‘막말’ 윤창중 대변인으로 잘 앉혔다” 논란
■ ‘잘 나가는’ 서태지·싸이의 성공 뒤엔 늘 이 사람이…
■ 현직 경찰관 낀 ‘여수 금고털이’ 피해 현금 발견
■ “어젯밤 그놈은 차마 못잊겠다” 조선 춘화도의 외출
■ ‘인민 루니’ 정대세 입국 “수원에서 우승하고 싶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