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관리원 “적정주기 5만㎞ 아냐”
보통 주행거리 4~5만㎞마다 교환해야 한다고 알려진 자동변속기유(오토미션 오일)를 10만㎞ 주행 뒤 교환해도 문제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석유관리원은 “자동변속기유의 품질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 차량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8~10만㎞ 주행 뒤 교환해도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10일 밝혔다.
석유관리원은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자동변속기유 적정 교환주기 모니터링 연구’를 실시했다. 우선 품질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 자동차사의 휘발유 차량 12대(2009~2011년식·준중형차~대형차)를 선정해 5만㎞와 10만km 주행 뒤 자동변속기유를 채취해 물성시험을 진행했다.
석유관리원은 “시험 결과 자동변속기유 품질에서 가장 중요한 동점도(유체의 끈끈한 정도), 점도지수(온도에 따른 석유 제품의 점도 변화를 수치화한 값) 등이 새제품에 견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물론 주행거리에 따라 이러한 성질들이 변하지만 품질 규격에는 적합하다는 설명이다.
석유관리원은 “ 차량상태나 운행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통상 8만~10만km까지 주행 뒤 교환해도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자동차제조업체들은 차량매뉴얼에 자동변속기유 교환주기를 8만~10만㎞로 권장하고 있기도 하다.
석유관리원은 “운전자 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6%가 권장주기보다 빨리 자동변속기유를 교환하고, 61.9%는 다른 점검을 받다 정비사의 권유로 교환하고 있다는 응답이 나왔다”고 덧붙였다.
석유관리원은 운전자들이 8만~10만㎞로 자동변속기유 교환 주기를 늘릴 경우 연간 약 450억원의 제품구입 비용과 폐자동변속기유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C특파원 “김정남 우연히 마주쳐 인터뷰…”
■ 피해여성 사진 유출 검사 “신상 알려주고 사진 구해와라”
■ 4대강으로 꽁꽁 언 낙동강, 큰고니 굶어죽을판
■ ‘은퇴’ 장미란 “IOC선수위원 도전”
■ [화보] 신의 영혼을 본다고? 형체 없이 일렁일렁
■ MBC특파원 “김정남 우연히 마주쳐 인터뷰…”
■ 피해여성 사진 유출 검사 “신상 알려주고 사진 구해와라”
■ 4대강으로 꽁꽁 언 낙동강, 큰고니 굶어죽을판
■ ‘은퇴’ 장미란 “IOC선수위원 도전”
■ [화보] 신의 영혼을 본다고? 형체 없이 일렁일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