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176만㎾ 발전소 건설사 선정
삼성·SK 등 대기업 계열사 대거 진출
삼성·SK 등 대기업 계열사 대거 진출
장기 전력수급계획을 짜고 있는 정부가 2020년까지 석탄 및 액화천연가스(LNG) 화력발전의 공급 용량을 대폭 늘리면서 신규 발전설비의 70% 이상을 민간 대기업들에 맡기기로 해 논란이 예상된다.
20일 지식경제부와 민간 발전회사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정부는 최근 사실상 확정한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화력발전소 추가 건설 규모를 1580만㎾로, 이 가운데 74.4%인 1176만㎾ 규모의 발전소 건설은 민간 발전회사들한테 맡기기로 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심사 결과가 각 업체들에 통보됐는데,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 이의신청을 받고 평가작업을 거친 뒤 2월 초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02년부터 시작해 2년마다 수정하는 전력수급기본계획은 향후 15년간의 전력수급계획을 담아 작성되는 ‘로드맵’으로, 발전소 건설과 원자력·화력·수력 등 연료원별 발전소 구성 비율 등의 내용이 담긴다.
이번 계획에선 민간 발전회사들의 대거 진출이 눈에 띈다. 동부·동양·지에스(GS)·에스케이(SK) 등 대기업 계열사들의 발전소 건설 계획이 많이 반영됐다. 에스케이건설(200만㎾), 삼성물산(200만㎾), 동부하슬라파워(200만㎾), 동양파워(200만㎾), 대우건설(94만㎾), 지에스이피에스(95만㎾) 등이 좋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정부가 그동안 액화천연가스 발전에만 대기업들의 참여를 허용하다 지난해 석탄화력발전에도 문을 연 데 따른 것이다. 이에 29개 회사가 사업을 신청하고, 각각의 발전소 건설 희망지역에서 경쟁을 벌여왔다. 지난해까지 전체 전력공급량에서 포스코·지에스·에스케이 등 민간 발전사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15.8%였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8살 혜진이는 그렇게 또 버려졌다
■ 중·일 앞다퉈 한국 어선 구조작업 나선 이유는?
■ 김재연 의원 ‘종교인 소득 과세법’ 발의
■ [한겨레 프리즘] 20대의 ‘찌질함’에 대해 / 한귀영
■ 개인비위 17건·의혹 14건…21일 이동흡 청문회
■ 8살 혜진이는 그렇게 또 버려졌다
■ 중·일 앞다퉈 한국 어선 구조작업 나선 이유는?
■ 김재연 의원 ‘종교인 소득 과세법’ 발의
■ [한겨레 프리즘] 20대의 ‘찌질함’에 대해 / 한귀영
■ 개인비위 17건·의혹 14건…21일 이동흡 청문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