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가게들은 ‘공짜’를 강조하며 고객들을 모은다. 그러나 이런 ‘공짜폰’은 특정 요금제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므로 실제 공짜는 아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스마트폰 월정액 데이터 제공량 절반밖에 못써
소비자원 “요금체개 개선 필요…권고할 예정”
소비자원 “요금체개 개선 필요…권고할 예정”
회사원 김아무개(39)씨는 지난해 새 스마트폰으로 바꾸면서 기본요금(월정액)이 6만2000원인 ‘엘티이(LTE) 62 요금제’를 선택했다.
기존에 쓰던 3지(G) 스마트폰에 비해 기본요금이 훨씬 비샀지만, 단말기 할부 보조금을 받기 위해선 최소한 엘티이 62 요금제 이상으로 가입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 요금제가 제공하는 기본 음성통화 350분, 문자서비스 350건, 데이터통신 5GB는 김씨에겐 지나치게 많았다. 결국 김씨는 매달 기본 제공량의 절반가량밖에 사용하지 못한 상태에서, 월정액에 세금까지 포함해 7만원 가까이를 꼬박꼬박 내야했다.
김씨 사례처럼 상당수 휴대전화 이용자들이 요금제별 기본 제공량(음성통화, 문자, 데이터통신)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면서 필요 이상의 요금을 내고 있어, 요금체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소비자원이 지난해 11월 3지 및 엘티이 이동전화서비스 이용자 1511명을 대상으로 요금제별 이용실태를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3지 54 요금제’(월정액 5만4000원)는 한 달에 음성통화 300분을 기본으로 제공하지만, 가입자들은 평균 223분(74.3%)을 이용하는데 그쳤다. 문자서비스도 기본 제공량의 36.1%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정액이 6만2000원으로 더 비싼 ‘엘티이 62 요금제’는 버려지는 양이 더 많았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음성통화와 문자서비스가 각각 350분과 350건이지만, 평균 사용량은 238분(68%)과 100건(28.5%)에 불과했다. 이동통신사별로 5~6GB가 제공되는 데이터통신의 평균 이용률은 56.7%(3.2GB)로 더 낮았다.
엘티이 요금제 선택 이유로는 ‘서비스 기본 제공량이 본인의 이용패턴에 적합해서’가 48.1%로 가장 높았고, ‘마음에 드는 휴대폰을 마련하기 위해서’(17.1%), ‘요금 할인이 많이 되어서’(16.1%)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비싼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 가입자일수록 ‘판매자의 권유·추천’과 ‘마음에 드는 휴대폰 마련’을 이유로 꼽은 비율이 높았다. 이동통신사의 마케팅 전략이나 특정 휴대폰을 구입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필요 이상의 높은 요금제를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소비자들은 남는 통화량이나 문자서비스 등이 이월되거나 기본 요금이 인하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휴대전화 이용과 관련해 어떤 점이 개선됐으면 좋겠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4.8%는 ‘남는 기본제공량의 이월 또는 포인트 적립’을 꼽았고, ‘기본요금 인하(17.8%)’, ‘개인의 사용량에 맞는 맞춤형 요금제 실시·다양화(15.7%)’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은 “이동통신사업자는 남은 기본 제공량을 이월하고 이월된 양이 축적되면 이에 상당한 금액을 요금에서 차감하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요금체계 개선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이동통신 3사 가운데 음성통화나 문자서비스를 이월해주는 곳은 한 곳도 없다. 데이터통신은 케이티(KT)만 1개월 이월해주고 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정부, ‘셀프훈장’ 이어 이번엔 ‘4대강 셀프검증’
■ MBC “알통 크면 보수?” 논문왜곡 ‘황당’ 뉴스
■ 이석기 “김종훈, CIA자문위원 활동”
■ 서울 주유소, 가장 비싼 곳과 싼 곳 529원 차이
■ O.J 심슨에서 피스토리우스까지…범죄자가 된 스포츠 스타
■ MB정부, ‘셀프훈장’ 이어 이번엔 ‘4대강 셀프검증’
■ MBC “알통 크면 보수?” 논문왜곡 ‘황당’ 뉴스
■ 이석기 “김종훈, CIA자문위원 활동”
■ 서울 주유소, 가장 비싼 곳과 싼 곳 529원 차이
■ O.J 심슨에서 피스토리우스까지…범죄자가 된 스포츠 스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