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EU FTA 발효 뒤에도 되레 가격 상승
국내 시장을 장악한 외국산 콘택트렌즈의 가격이 외국보다 최대 64%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한-미,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후 관세가 낮아졌음에도 콘택트렌즈 가격은 내려가지 않거나 되레 상승했다.
한국소비자연맹은 6일 국내 안경점 157곳과 미국·일본·중국·대만·오스트레일리아·홍콩·영국 등 7개 국가의 콘택트렌즈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국내 시장의 87%를 차지한 존슨앤드존슨·시바비젼·쿠퍼비젼·바슈롬 등 4대 외국 메이저 제조업체 제품이다.
조사 결과 대다수 제품의 국내 판매가격이 국외보다 비쌌다. 가격 차이가 가장 큰 제품은 에어 옵틱스 아쿠아(시바비젼)였다. 국내 평균 가격이 5만8214원으로 국외 가격(3만5402원)의 1.64배에 달했다. 아큐브 모이스트(존슨앤드존슨), 포커스 데일리즈(시바비젼), 아큐브 트루아이(존슨앤드존슨), 소프렌즈 데일리(바슈롬) 등도 국내 가격이 외국보다 11%~34% 비쌌다.
소비자연맹은 콘택트렌즈 국내 가격이 국외보다 비싼 것은 소수 외국업체 위주의 독과점적 유통구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존슨앤드존슨의 아큐브 트루아이 제품은 전체 132개 안경점 중 98%인 129곳의 판매가격이 4만5000원으로 동일했다. 아큐브 모이스트, 아큐브 어드밴스, 아큐브2 인핸서즈 등의 제품도 90% 이상의 안경점에서 같은 가격으로 판매했다.
한-미, 한-유럽연합 에프티에이 등으로 인한 가격인하 효과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2011년과 2012년 가격 비교가 가능한 제품 중 소프렌즈 데일리의 가격은 996원에서 1192원으로 되레 20% 상승했다. 아큐브 트루아이도 1490원에서 1496원으로 올랐다. 한-미 에프티에이 발효로 미국산 제품의 관세는 8%에서 5.3%로 인하됐다. 한-유럽연합 에프티에이에 따른 관세 인하 효과도 4%포인트(8%→4%)에 달한다.
소비자연맹은 “유명인을 이용한 광고 등에 막대한 비용을 들이기보다는 실제 소비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콘택트렌즈 가격을 인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소비자연맹은 안경점 간 가격 경쟁을 활성화하고, 콘택트렌즈 판매 때 제조 연월일, 제조사명, 유효기간 등 제품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조사 결과는 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에서 볼 수 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송호창 “야권의 ‘반대연합’은 더 이상 대안세력 될 수 없다”
■ 강동희 감독 ‘승부조작 혐의’ 7일 소환
■ 강남스타일 다음은 ‘할렘셰이크’…춤추던 광부들 해고사태까지
■ ‘결승골’ 호날두, 친정팀 맨유 울렸다
■ 갑자기 바짝 몸 낮춘 재벌들, 이유가…
■ 송호창 “야권의 ‘반대연합’은 더 이상 대안세력 될 수 없다”
■ 강동희 감독 ‘승부조작 혐의’ 7일 소환
■ 강남스타일 다음은 ‘할렘셰이크’…춤추던 광부들 해고사태까지
■ ‘결승골’ 호날두, 친정팀 맨유 울렸다
■ 갑자기 바짝 몸 낮춘 재벌들, 이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