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금 31조원 규모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12일 파산 위기를 겨우 넘겼다. 그러나 자금조달을 위한 획기적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이달 25일 다시 유동성 위기를 맞을 전망이다. 용산개발 자산관리위탁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은 12일 상환 기일이 돌아온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이자 59억원을 이날 오후 갚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채무 불이행에 따른 파산 위기는 일단 넘기게 됐다.
용산개발 시행사 드림허브프로젝트투자금융(드림허브)의 대주주인 코레일은 앞서 지난 8일 드림허브가 대한토지신탁(대토신)으로부터 받아야 하는 손해배상 청구소송 승소액 257억원 중 코레일 지분(25%)만큼에 해당하는 64억원에 대한 지급보증을 서기로 했다. 그러나 대토신이 257억원 전액에 대한 민간 출자사들의 지급보증이 이뤄져야 한다고 버티면서 12일 오후까지 협상이 난항을 겪다가 막판 대토신의 양보로 어렵게 64억원 지급이 합의됐다.
용산역세권개발이 급한 불은 껐지만 정상화까지는 갈길이 멀다. 이달 25일 32억원, 27일 122억원 등 갚아야 할 금융비용 만기가 줄줄이 대기하고 있으나 14일 이후에는 10억원의 잔액만 남게 되기 때문이다. 4월 말까지 500억원 정도의 자금이 필요한 만큼 추가 자금 수혈이 이뤄져야 파산을 막을 수 있다.
코레일은 사업이 무산됐을 때 드림허브에 돌려줘야 하는 3073억원에 대한 반환 확약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지막 카드’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코레일은 그러나 자금을 투입하는 조건으로 삼성물산이 확보한 1조4000억원 랜드마크 시공권 등 기존 건설 출자사들의 기득권 포기를 요구하고 삼성물산 등은 이에 반발할 것으로 예상돼, 파산 위기에서 벗어날 것인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군종신부 뽑는데 “해군기지, 하느님 뜻이냐” 질문
■ 중국 언론 “MB, 전직 대통령의 저주에 걸렸다”
■ ‘개미’는 왜 항상 돈을 잃을까? 알고보니…잘못된 투자 때문
■ 시스티나 성당 굴뚝 ‘흰색-검은색’ 연기 어떻게 만들어질까
■ 나, 화면발 어때?…‘아기 모델’ 1만4000 대 1 경쟁률
■ 군종신부 뽑는데 “해군기지, 하느님 뜻이냐” 질문
■ 중국 언론 “MB, 전직 대통령의 저주에 걸렸다”
■ ‘개미’는 왜 항상 돈을 잃을까? 알고보니…잘못된 투자 때문
■ 시스티나 성당 굴뚝 ‘흰색-검은색’ 연기 어떻게 만들어질까
■ 나, 화면발 어때?…‘아기 모델’ 1만4000 대 1 경쟁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