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개발 사업의 최대주주인 코레일 정창영 사장이 15일 오후 서울 청파동 코레일 서울사옥에서 열린 ‘용산역세권 사업 정상화를 위한 제안 설명회’에서 허리 숙여 사과하고 있다.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출자사들에 시공권 포기 등 요구
2600억원 지원·2조 상환 약속도
2600억원 지원·2조 상환 약속도
코레일이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의 파산을 막기 위한 마지막 승부수를 던졌다. 코레일이 긴급 자금을 지원하고 사업 주도권을 쥐는 대신 민간 출자사들은 기득권을 상당폭 포기하는 선에서 사업계획을 바꾸자는 구상이다.
코레일은 15일 서울 청파동 서울사옥 1층 대회의실에서 ‘용산사업 정상화 제안 출자사 설명회’를 열어 △사업계획 재수립 △주주간 협약서 변경 △기존 시공권 포기 △사업무산 때 청구권 포기 등을 뼈대로 한 정상화 방안을 삼성물산 등 30개 출자사들에게 제시했다. 출자사들이 이번 방안을 받아들인다면 코레일은 전환사채 제3자 인수 형식으로 2600억원을 지원하고 금융권에서 대출받은 2조4000억원도 상환하겠다고 약속했다.
코레일은 서부이촌동 보상비 등 자금 조달을 위해 단계적으로 자본금을 5조원으로 증액하는 방안을 내놨다.
또 코레일이 용산개발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로부터 4조2000억원에 선매입한 111층 랜드마크빌딩 매매계약을 해제하는 동시에 삼성물산의 시공 계약도 해제를 요청했다. 이 경우 삼성물산이 시공 조건으로 인수했던 전환사채(CB) 688억원은 코레일이 인수하기로 했다.
코레일은 사업 계획도 확 바꾼다는 방침이다. 코레일, 에스에이치(SH)공사, 건설출자사(CI) 대표가 참여하는 ‘특별대책팀’을 꾸려 연말까지 새 사업계획안을 만들기로 했다. 또 드림허브의 자산관리회사인 용산역세권개발㈜ 이사회는 코레일이 지배력을 행사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와 함께 이후 사업이 무산될 경우에는 코레일과 민간 출자사들이 서로 손해배상금 등의 청구권을 포기하기로 하는 조건도 달았다.
코레일은 오는 22일까지 이날 정상화 제안에 대한 30개 민간출자사의 의견을 수렴하고, 동의가 이뤄지면 4월1일까지 드림허브에 출자사 확약서를 제출한다는 방침이다.
정창영 코레일 사장은 “이번 제안은 출자사들이 서로 기득권을 양보함으로써 용산사업의 거품을 빼자는 것이며, 사업자금 조달 주체가 사업을 진행하는 원칙을 분명히 한 것”이라고 말했다. 코레일의 이날 제안에 대해 출자사들은 “22일까지 일주일의 시간이 주어진 만큼 신중히 검토해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오세훈 “주민 57% 개발에 동의”…파산 책임론 반박
■ 하루만에 여당서…“한만수·최문기 부적절”
■ ‘막강 파워’ 미래연구원, 어떤 곳?
■ 승부사 내던진 강호동 소심한 변신
■ 남편과 딸은 서로 좋아 죽는데 나는 미워 죽겠어
■ 오세훈 “주민 57% 개발에 동의”…파산 책임론 반박
■ 하루만에 여당서…“한만수·최문기 부적절”
■ ‘막강 파워’ 미래연구원, 어떤 곳?
■ 승부사 내던진 강호동 소심한 변신
■ 남편과 딸은 서로 좋아 죽는데 나는 미워 죽겠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