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대회…수입 다변화 선언
5000억 목표 5월 주식 공모
정제시설 등 실현가능성 의문
5000억 목표 5월 주식 공모
정제시설 등 실현가능성 의문
기름값을 20% 낮추겠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는 ‘국민석유회사’가 창립을 공식 선언했다. 소비자들이 직접 참여해 기름값을 낮추겠다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실현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국민석유는 21일 서울 종로의 한국교회100주년기념관에서 창립 발기인 대회를 갖고 법인 설립 절차에 들어가기로 했다. 국민석유는 “창립분담금을 내신 발기인이 중심이 돼 법인을 설립해 4월 법인 등록절차를 밟고 5월 중순에 일반인 주식 공모를 실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태복 전 복지부 장관이 대표이사 겸 의장을 맡은 국민석유는 “5000억원의 자본금을 모아 원유정제시설을 짓고, 캐나다, 시베리아 등에서 저렴한 제품을 도입해 기름값을 20% 낮추겠다”는 목표를 내걸고 지난해 6월 준비위원회를 꾸리고 활동을 벌여왔다. 인터넷 누리집을 통해‘1인1주 갖기 약정운동’을 진행해 기금을 모았다. 국민석유관계자는 “현재 3만3000여명이 넘는 분들이 1200억원을 약정했다. 앞으로도 약정자의 수는 늘어날 것이다”고 전했다. 주식공모와 정부지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본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석유는 우선 올해 국내에 주로 수입되는 두바이유 대신 값싼 원유를 수입한다는 전제로 50~100개 사이의 주유소를 확보해 저렴한 기름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2~3년 안에 원유정제시설도 짓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진입장벽이 높은 정유사업 특성상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회의적인 시선이 존재한다. 해결해야할 과제가 많기 때문이다.
우선 저렴하다고 알려진 캐나다·시베리아산 원유의 수입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내륙에서 생산되는 캐나다산 원유는 수송시설이 현재 미비하고, 시베리아산 원유는 물량이 작아 공급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한 정유업체 관계자는 “정유사들도 캐나다, 시베리아산 원유가 경제성이 있다면 진작에 도입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석유 초기에 사업에 참여했던 한 관계자도 “국내의 엄격한 원유 수입 기준에 맞고 저렴한 기름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또 보통 2조원이 들어가는 정제시설 건설에 5000억원은‘턱없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다. 국민석유는 정부, 지자체 지원 등의 방법도 검토하고 있지만 알뜰주유소 사업을 추진 중인 정부가 지원에 나설 가능성도 낮아 보인다. 이에 대해 국민석유 쪽은 “아직 밝힐 수 없지만 현재 저렴한 원유 수입을 다양한 경로로 통해 찾고 있다. 새롭게 시작하는 것이다 보니 어려운 점이 많지만 앞으로 잘 해결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진영 낯뜨거운 ‘박비어천가’…“대통령께 업무보고 가슴 벅찬 감동”
■ “올 750만 관중 목표” 프로야구 30일 개막
■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귀국한 이유는?
■ 자살한 울산 복지공무원 유서 내용이…
■ 불교방송 ‘멱살잡이’ 속내는?
■ 진영 낯뜨거운 ‘박비어천가’…“대통령께 업무보고 가슴 벅찬 감동”
■ “올 750만 관중 목표” 프로야구 30일 개막
■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귀국한 이유는?
■ 자살한 울산 복지공무원 유서 내용이…
■ 불교방송 ‘멱살잡이’ 속내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