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값은 서울 강남권으로 출퇴근하는 시간에 달려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7일 한국교통연구원의 ‘국민 통근통행 부담 격차 완화 정책방안’ 보고서를 보면,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강남권 버스 통근시간과 -0.759, 지하철 통근시간과 -0.763의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가 1이면 정비례, -1이면 정확한 반비례 관계다. 결국 강남권 통근시간이 짧을수록 집값이 비싼 것으로 나타난 셈이다. 전셋값은 더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여, 강남권 버스 통근시간은 -0.845, 지하철 통근시간과는 -0.829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거의 반비례에 가까울 정도로 높은 수치다.
강남권 출퇴근 시간이 집값에 미치는 영향력은 수도권의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큰 것이다. 수도권 전체 통근시간과 집값의 상관관계를 보면, 버스 통근시간과는 -0.521, 지하철 통근시간과는 -0.511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은 버스 통근시간과 -0.595, 지하철 통근시간과 -0.558의 상관관계를 각각 기록했다. 전세가 매매에 비해 통근시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성은 비슷했지만, 강남권 통근시간만큼 밀접한 반비례 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한국교통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수요 대응형 버스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도입 등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통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딱 300만원에 가능한 럭셔리 해외여행지 어디?
■ ‘국정원 정치개입’ 폭로한 의원·기자 이메일 해킹 당했다
■ “정대세 잡으러 서울에 왔다”
■ [김선주 칼럼] 감자를 고를 때와 사람을 쓸 때
■ 공주대 교수 2명, 수년간 여학생 수십 명 성추행
■ 딱 300만원에 가능한 럭셔리 해외여행지 어디?
■ ‘국정원 정치개입’ 폭로한 의원·기자 이메일 해킹 당했다
■ “정대세 잡으러 서울에 왔다”
■ [김선주 칼럼] 감자를 고를 때와 사람을 쓸 때
■ 공주대 교수 2명, 수년간 여학생 수십 명 성추행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