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흑자규모 전달 비해 줄고
대일 수출증가율 2개월째 감소
대일 수출증가율 2개월째 감소
수출이 두달 연속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주춤하는 모습을 보여, ‘엔화 약세’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가 1일 발표한 ‘4월 수출입동향’을 보면, 4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 증가한 463억9800만달러, 수입은 0.5% 감소한 437억1600만달러로 집계됐다. 무역수지는 26억달러 흑자로 15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두달 연속 수출이 증가하고 흑자를 이어갔지만 흐름은 좋지 않다. 지난해 대비 수출증가율은 3월 0.2%에 이어 연속 둔화하는 흐름이고, 무역수지 흑자 규모도 3월(32억8900만달러)에 견줘 21.5%(7억700만달러) 줄었다. 1~4월 수출액은 1817억6300만달러로 지난해보다 0.5% 증가하는 데 그쳤다. 통관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 증가율도 -7.9%를 보이며 여섯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일평균 수출 증가율은 1월 1.7%, 2월 2.5%, 3월 4.7%로 오름세를 보여왔다. 산업부는 “세계경제의 완만한 회복에도 불구하고, 엔저 영향 등으로 우리 수출은 아직 정체상태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엔화 약세 영향은 일본 수출에 직접적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일본에 대한 수출 증가율은 3월 -18.2%에 이어 4월에 -11.1%로 감소세가 지속됐다. 중남미 국가에 대한 수출도 지난해 대비 -34.2%의 수출증가율을 보였다. 대신 중국(16.3%), 아세안(15.3%) 등 주요 신흥국 수출이 크게 늘어나고, 유럽연합(4.9%)에 대한 수출이 여섯달 만에 증가했다.
무선통신기기(51.3%), 석유화학(13.1%), 반도체(12.5%)는 수출이 늘었지만, 일본과 경합하는 경쟁품목인 자동차·철강·기계의 수출 성적은 좋지 않았다. 자동차와 철강 수출은 지난해보다 각각 2.4%, 13.6% 줄었고, 일반기계는 2.4% 소폭 증가했다. 일반기계도 1~4월 수출은 158억달러를 기록해, 지난해보다 1.3% 줄었다. 주력 수출 품목 가운데 하나인 선박은 유럽 경기침체의 여파가 계속 이어지며 수출이 지난해보다 44.8% 감소했다. 산업부는 “엔저 등 각종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라면 상무’ 폭행사건, 대한항공의 이상한 처방
■ MB때 깎인 공기업 신입사원 연봉 원상복귀
■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법안들, 넉달 뭉기적하다 또 미뤄
■ 류현진 “홈런 맞고 더 집중…실투 놓치지 않더라”
■ [화보] 류현진, ‘시건방춤’ 응원이 통했나
■ ‘라면 상무’ 폭행사건, 대한항공의 이상한 처방
■ MB때 깎인 공기업 신입사원 연봉 원상복귀
■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법안들, 넉달 뭉기적하다 또 미뤄
■ 류현진 “홈런 맞고 더 집중…실투 놓치지 않더라”
■ [화보] 류현진, ‘시건방춤’ 응원이 통했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