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오는 8월부터 수요조사 들어갈 예정”
MB정부 백지화 뒤 박근혜 정부서 공약 내세워
MB정부 백지화 뒤 박근혜 정부서 공약 내세워
2011년 백지화됐던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 등 영남권 5개 지방자치단체와 신공항 공동합의서를 체결하고 이르면 8월부터 항공수요조사를 시작하겠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국토부 관계자는 “공정하고 투명한 영남 지역 항공수요조사 시행을 위한 공동 합의서를 체결해 오는 8월부터 수요조사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1년여 걸리는 수요조사를 마친 뒤, 수요조사가 끝나는대로 타당성조사도 바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시행되는 항공수요조사는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외국기관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국제입찰로 추진된다.
국토부는 이같은 입장 변화에 대해 “2011년 예측에 비해 김해공항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는 등 영남권 신공항의 필요성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됐다”며 “ 5년마다 만드는 공항개발 중장기계획에 따라, 지난해부터 수요조사를 실시하도록 계획된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영남권 신공항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으나 경제성이 떨어져, 대표적인 ‘선심성 공약’으로 평가받았다. 더욱이 신공항 입지를 놓고 가덕도 앞바다를 주장한 부산과, 경남 밀양을 밀었던 대구, 경북, 울산 등으로 갈등을 벌인 탓에, 2011년 3월 이명박 정부는 사업추진 백지화를 선언한 바 있다. 이어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또 다시 영남권 신공항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영남권 신공항이 재추진되는 상황을 놓고 영남권 지방자치단체와 국토부는 또 힘겨루기를 벌여왔다. 부산을 중심으로 한 지방자치단체들은 수요조사와 함께 타당성조사를 진행해 사업추진을 앞당기려 했고, 국토부는 수요조사를 먼저 한 다음 경제성이 입증된 뒤 타당성조사에 나선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항 건설은 계획부터 건설까지 13~14년이 걸리는 큰 사업으로, 지난번 수요조사는 2008년 금융위기 직후 항공수요가 급감했을 당시의 수요를 근거로 했다는 한계가 있었다”며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업인 만큼, 정부와 지자체가 신뢰프로세스를 구축해 수요조사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