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주택 비중 71%→50% 축소
주거위주서 자족복합도시 전환
주거위주서 자족복합도시 전환
부동산경기 침체 여파로 수도권 최대 규모 보금자리주택지구인 광명시흥지구의 주택 건설 물량이 종전 9만4000가구에서 6만~7만가구로 대폭 줄어든다. 이명박 정부 때 사업계획이 수립된 보금자리지구가 축소 변경되는 것은 광명시흥지구가 처음이다.
27일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광명시흥 보금자리주택지구 사업 정상화 방안을 내놨다. 광명시흥지구는 총 면적이 1740만㎡에 이르는 새도시급 공공택지로 지난 2010년 5월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됐으나 주택경기 침체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자금난 등으로 사업추진이 보류됐다.
정상화 방안을 보면, 국토부는 광명시흥지구 개발 예정지의 20~25% 정도를 지구에서 빼기로 했다. 이는 보상비 부담을 덜고 사업 일정을 앞당기기 위한 조처로, 사업지구에서 제외될 곳은 취락지구(174만1000㎡), 군사시설(132만7000㎡)과 양호한 산림, 도로 단절지, 토지이용 불합리 구역 등이다.
이번에 지구에서 해제되는 곳은 지구지정 전의 용도로 돌아가거나 도시계획시설로 관리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또 광명시흥지구에 자족형 복합시설단지를 넣어 주거기능 위주에서 자족복합도시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구 안에 297만여㎡(90만평) 규모의 물류단지와 벤처밸리, 공업용지(공장이전용지) 등 자족형 복합시설단지를 짓게 된다.
이와 함께 전체 주택 건설 물량 중 공공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을 현행 71%에서 50% 수준으로 낮추고 해당 부지는 민영택지 등으로 바꿔 민간에 매각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광명시흥지구의 공공주택 물량은 종전 6만6000여가구에서 3만~3만5000가구로 절반가량 줄어들게 된다. 또 지구 안에 산재해 있는 2000여개의 공장은 한 곳으로 이전해 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번 조처로 광명시흥지구 사업은 어렵게 정상화의 실마리를 찾았지만 보상이 늦어지는 데 따른 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사업자인 엘에이치는 내년중 보상을 위한 기본조사에 착수하며 내년 이후 단계적으로 보상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보상비용은 애초 예상됐던 8조8000억원에서 5조원 수준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