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도 꼽아
한국은행은 올 하반기 국내 소비자물가를 자극할 가장 큰 위험 요소로 불안한 농축산물 가격과 환율 변동성 확대를 꼽았다.
한은은 31일 발간한 ‘물가보고서 7월호’에서 “공급 측면 요인을 보면 일부 채소류 등을 중심으로 공급 축소가 우려되는 농산물 가격의 빠른 오름세가 예상되며 축산물 가격은 장기추세 수준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완만한 오름세가 전망된다”고 밝혔다. 여름철 태풍과 집중 호우 같은 기상여건의 악화가 농산물 수급불안을 야기할 우려가 있고 돼지 등 축산물은 사육두수 조정으로 공급과잉이 어느 정도 해소돼 오름세로 반전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한은은 연중 두차례 물가보고서를 내는데, 지난 4월 보고서에서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를 2.3%로 제시했다가 이번 보고서에선 1.7%로 낮췄다. 경기침체와 맞물린 수요 부진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전반적으로 떨어진 상태라는 진단이다. 하지만 한은이나 정부가 통제하기 어려운 공급 쪽의 상승 압박 요소는 곳곳에 잠재해 있다.
한은 보고서는 미국의 양적완화(중앙은행의 채권 매입을 통한 유동성 공급 확대) 축소와 연계한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 확대도 국내 물가의 교란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상반기 3.7% 상승(원화 절하)했다가 하반기 -0.2% 하락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3.3%로 하락 폭이 커지며 수입 원자재의 국내 공급가격을 계속 끌어내려왔다. 그러나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달러화가 강세로 돌아서 환율이 다시 오르면 이런 추세는 반전돼 에너지와 가공식품류 등을 중심으로 물가를 자극하게 된다. 다만, 한은 보고서는 “세계경기의 회복 지연과 이에 따른 유가 등 국제원자재가격의 추가 하락 위험도 상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하반기 물가불안 요소는 공공요금이다. 한은 보고서는 택시료와 상하수도 요금 등 그동안 인상 폭이 제한됐던 부문을 중심으로 공공요금의 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을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한은 보고서는 세계 금융위기 이후 실제 물가가 관리목표선(2.5~3.5%)의 상·하한을 이탈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며 “그러나 이는 중앙은행이 통제하기 어려운 공급 및 제도적 요인에 주로 기인하고 있어 기계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중기적 관점에서 정책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시간끌기 진수’ 보여준 새누리당, 결국 국정원에 ‘면죄부’
■ ‘코리안 좀비’ 정찬성, 현존 최고의 격투사와 맞붙는다
■ 자전거 안 다니는 30억짜리 ‘자전거 육교’
■ [포토] 박근혜 대통령의 여름휴가…뻘쭘해진 청와대
■ 영국 왕실의 ‘노예계약’…임시직 ‘0시간 파트타임’
■ ‘시간끌기 진수’ 보여준 새누리당, 결국 국정원에 ‘면죄부’
■ ‘코리안 좀비’ 정찬성, 현존 최고의 격투사와 맞붙는다
■ 자전거 안 다니는 30억짜리 ‘자전거 육교’
■ [포토] 박근혜 대통령의 여름휴가…뻘쭘해진 청와대
■ 영국 왕실의 ‘노예계약’…임시직 ‘0시간 파트타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