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어 케이블 시험성적서 위조로 문제가 됐던 원자력 발전기의 일부 기기 검증이 이른바 ‘셀프 검증’을 통해 납품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김제남 의원(정의당)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신고리 1~4호기, 신월성 1·2호기의 기기검증(EQ) 품목 100개 가운데 41개의 공급업체와 검증기관이 동일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고리 1·2호기가 39건 중 18건, 신고리 3·4호기가 36건 중 17건, 신월성 1·2호기가 25건 중 6건의 품목에서 ‘셀프 검증’을 했다. 여기서 기기검증이란 원전의 안전과 직결되는 기기가 사고가 나더라도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지 입증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이 가운데 한 공급업체는 기기검증서를 위조한 사실이 적발돼 한수원으로부터 공급자 자격을 박탈당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도 조만간 이런 내용을 포함한 기기검증 특별실태점검 결과를 발표할 예정인데, 이 결과에 따라 신고리 1~4호기, 신월성 1·2호기 재가동이나 상업운전 시점이 더 늦춰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김 의원 쪽의 분석이다.
셀프 검증은 원전 기기검증에 대한 규제가 마땅히 없던 기간인 1999년부터 2010년까지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바 있다. 김 의원은 “정부는 셀프 검증이 어떻게 가능했는지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하루 빨리 기기검증 특별점검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자칫 겨울철 전력난을 핑계로 혹은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대충 넘어가서는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