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수출액 가운데 중국 비중이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수출 시장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수출입 통계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액 5597억달러 가운데 중국으로 나간 규모는 1458억달러에 이른다. 전체의 26.1%로, 한 해 수출의 4분의 1을 웃도는 비중이다.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830억달러로 집계됐다.
수출 가운데 중국 비중은 2005년 21.8%로 20%를 처음 넘기고 난 이후 2010년 25.1%로 올라섰다. 이후 2011년과 2012년에는 24%대로 주춤하다가 지난해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중국 수출 품목은 휴대전화 부품과 반도체,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등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서 거둬들인 무역흑자는 628억달러로, 전체 수출 흑자액 442억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중국이 규모가 큰 수출 시장으로 우리나라에 순기능을 하는 측면도 있지만, 중국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진다는 점에서는 부담이 없지 않다. 산업연구원은 중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낮아지면 우리나라 수출이 1.3% 줄어들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자동차부품, 석유화학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의 경제정책 기조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옮겨가고 있는데다 성장세도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중국 특수’가 언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얘기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