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기 무역금융지원 확대
정부가 2017년까지 8만7000개 수준(2013년 기준)인 중소 수출기업을 10만개까지 늘리기로 했다. 또 벤처·창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2조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조성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기업청은 24일 이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올해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우선 산업부는 내수기업의 수출 촉진을 도와 중소 수출기업 10만개를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중소·중견 수출기업의 수를 늘려 내수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의도다. 이를 위해 개별 기업의 수출역량 평가, 일대일 밀착상담, 판로개척 지원 등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연간 수출 1억달러 이상의 글로벌 전문기업도 400개(2013년 기준 240개)로 양성하는가 하면, 역량있는 수출 전문기업을 전문무역상사로 지정해 내수기업의 수출을 돕기로 했다. 중소·중견 수출기업에 대한 무역금융지원(대출·보증·보험) 규모도 지난 해보다 3조6000억원 가량 늘어난 77조4000억원을 올해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이와함께 연구·개발에 종사하다가 출산·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이 중소·중견기업에 재취업할 때 1인당 월 80만~100만원을 지원하는 ‘경력복귀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이 프로그램은 상반기중으로 가동되며, 지원은 1인당 최대 6개월간 가능하다.
중기청이 보고한 벤처펀드는 모태펀드 출자를 통해 조성한 1조5300억원과 벤처캐피탈 등 자체 마련한 4700억원을 합한 것이다. 중기청은 지난해 개정된 ‘벤처기업특별법’에 따라 7월부터 창업자를 발굴·육성하기 위한 ‘전문엔젤 제도’를 본격 시행해 엔젤투자의 저변을 넓히기로 했다.
또 민관 공동으로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에 최대 9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민간이 선별해 투자한 기업에 정부가 후속 지원하는 방식으로 연구원과 기업 기술인력의 창업을 매년 150개 육성한다는 목표다. 전문 엔젤, 벤처캐피탈, 중견·대기업 등 민간이 1억원 이상 투자하면, 정부는 연구개발자금 5억원, 창업자금 3억원, 해외마케팅 1억원 등 3년간 최대 9억원을 투자한다. 아울러 중기청은 오는 2017년까지 기술·아이디어를 가진 고교·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창업 CEO’ 1만명을 양성하고, ‘한국형 히든 챔피언’ 후보군 1000개를 육성하기로 했다.
황보연 이춘재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