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행부, 정부통합의사소통시스템 ‘나라e음’ 가입 독려
이미 시범 운영했지만, 세월호 사태 때 별 효과 못 봐
이미 시범 운영했지만, 세월호 사태 때 별 효과 못 봐
안전행정부가 세월호 침몰 사고 수습 및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야하는 시점에서 정부 기관들에 온라인 소통시스템 가입을 재촉하고 나서, 일선 공무원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더군다나 이 시스템을 이미 시범운영해온 안행부와 해양수산부는 이번 사고 대응에서 극심한 혼선과 엇박자 행정을 드러낸 바 있다.
사고가 벌어진 지 이틀 만인 지난 18일, 안행부는 일종의 메신저인 ‘정부통합의사소통시스템’에 대한 회원가입 독려 및 가입현황 제출 요청 공문을 각 정부 부처에 내려보냈다. ‘나라e음’이란 이름을 달고 있는 이 시스템은 지난해 안행부가 대면보고나 원거리 출장을 가지 않고도 각 기관 간에 협업과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구축한 것이다. 각 공무원들이 업무용 피시(PC)에 설치하는 통합메신저 시스템으로, 일대일 대화와 영상회의는 물론이고 기관간 메모 보고를 공유해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도록했다. 이날 내려보낸 공문에서 안행부는 23일까지 기관별로 공무원들의 가입 현황을 첨부해 제출하도록 했다.
하지만 일선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세월호 침몰사고 직후 엇박자 행정으로 도마에 올랐던 안행부가 전 부처 공무원들에게 의사소통을 강조하고 나선 것은 어불성설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한 정부부처 공무원은 “세월호 대응으로 전 부처가 수습에 총력을 다하는 가운데 주무부처인 안행부가 과연 일의 경중을 따져서 대응을 하고 있는 건지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정부부처 공무원은 “정보유출로 인한 온 나라의 혼란이 채가시지도 않았고 해킹 우려도 제기된 바 있는데 일단 메신저를 깔고 보자는 식은 문제가 있다”며 “무엇보다 대부분 공무원들의 업무용 피시에 카메라가 달려있지도 않은데 영상회의를 하겠다는 것은 ‘돼지 목에 진주 목걸이를 걸어주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게다가 이번 사고 대응의 주무부처인 안행부와 해수부는 이미 지난 2월부터 이 시스템을 시범운영해왔지만, 세월호 승선인원과 구조자, 사망자, 실종자수 등에서 잇따른 혼선을 보인 바 있다. 의사소통시스템이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는 뜻이다. 이번 사고 수습 과정에서 안행부는 그동안 국가차원의 재난안전통신망도 제대로 구축해 놓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난 바 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대독 총리’ 사퇴로는 대통령 책임 못덮는다 [성한용의 진단 #266]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