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철거·재개발 방식 대안으로
오래된 도시지역 건물·특성 살려
모험기업·문화시설 입주토록
올해 사업비 280억·행정기술 지원
오래된 도시지역 건물·특성 살려
모험기업·문화시설 입주토록
올해 사업비 280억·행정기술 지원
기존의 싹쓸이(전면 철거) 재개발 방식의 대안으로 여겨지는 ‘도시재생’ 사업이 부산 동구와 청주시 등 전국 13곳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도시재생이란 오래된 도시 지역의 길이나 건물, 주민, 특성을 살리면서 새롭게 고치는 도시 개발 방식을 말한다. 전면 철거를 기본으로 하는 도시 재개발과는 정반대 방식으로 평가된다.
28일 국토교통부는 국무총리실 도시재생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도시재생 선도지역’ 13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13곳 가운데 낡은 산업시설을 재생하는 도시경제기반형이 부산 동구와 청주시(각 250억원 지원) 등 2곳이며, 낡은 도심·주거지를 재생하는 근린재생형이 서울 종로구, 광주 동구, 영주시, 창원시, 군산시, 목포시(이상 각 100억원 지원), 대구 남구, 태백시, 천안시, 공주시, 순천시(이상 각 60억원 지원) 등 11곳이다.
산업시설을 재생하는 부산 동구는 부산역 일대의 초량1·2·3·6동 지역을 북항·원도심과 연계해 소규모 모험기업지구를 조성하고, 청주시는 옛 연초제조창 시설을 활용해 상당구 내덕1·2동, 우암동, 중앙동을 공예·문화 지구로 조성한다.
도심·주거지를 재생하는 서울 종로구는 봉제공장 특성화, 광주 동구는 아시아문화전당 주변 구도심 활성화, 군산시는 내항과 연계한 근대역사지구 조성을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된다. 목포시는 유달산 주변 구도심에 예술인 마을 조성, 영주시는 후생·중앙시장과 옛 철도역 주변 활성화, 창원시는 부림시장·창동예술촌에 문화지구 조성이 사업 내용이다. 역시 도심·주거지를 소규모로 재생하는 대구 남구는 100여개 공연 소극장 거리 조성, 태백시는 옛 탄광과 철도역 중심 활성화, 천안시는 기숙사·동아리방·스튜디오 등 청년 기반시설 조성, 공주시는 산성시장 활성화, 순천시는 친환경 마을 만들기 등을 추진한다.
이들 지역에서는 주민과 지방정부가 중심이 돼서 5~9월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2017년까지 사업을 추진한다. 선도지역에 대해서는 종류와 규모에 따라 사업비로 60억~250억원, 계획비로 5400만~2억원을 지원한다. 4년 동안의 전체 예산은 사업비 1400억원, 계획비 13억1000만원이며, 올해는 사업비 280억원, 계획비 13억1000만원이 지원된다. 사업비는 중앙·지방정부가 50%씩 매칭 펀드 방식으로 부담하며, 소규모 도심·주거지 재생형은 중앙 6 대 지방 4의 비율로 투자한다. 주민들의 건물 신축·개축 등 투자는 자율적으로 이뤄진다.
도시재생의 행정·기술적 문제에 대해서는 국토연구원,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번에 선정되지 못한 다른 도시들에 대해서는 도시재생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2016년부터 매년 35곳을 선정해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승기 국토부 도시재생과장은 “도시재생은 그 지역 주민이 중심이 돼서 지방정부와 함께 추진하는 것이다. 기존 도시 지역을 전면 철거하지 않으면서 주택을 고치고 주차장, 공원, 커뮤니티센터 등을 새로 마련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대 지리학과 신혜란 교수는 “도시재생은 기존의 폭력적인 도시 재개발 방식이 한계에 부딪쳐 나온 것으로 이미 외국에 사례가 많다”며 “도시 재개발처럼 단기간에 물리적인 변화만을 추구하지 말고 시간을 두고 사회적·문화적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종/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