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도로·철도·건물 사고 등 재난 상황별 대응 매뉴얼을 개편하는 내용을 뼈대로 ‘국토교통분야 재난안전 혁신대책’을 마련했다고 15일 밝혔다.
먼저 기존의 방대한 매뉴얼을 대신해 비상상황 때 공무원 각자가 수행할 임무를 간략하게 정리한 초동조치 매뉴얼을 만들었다. 또 이 매뉴얼은 현장 담당자가 실제 재난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9월까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앱이 개발되면 몇 단계의 보고체계를 거쳐 상황을 전파할 필요없이 현장에서 곧장 장관에게까지 보고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또 재난대응 훈련 방식을 전면 손질해 훈련을 할 시간과 기관·장소를 미리 통지한 뒤 진행하는 ‘예고형 훈련’ 대신 정확한 시간이나 장소, 재난 상황 등을 불시에 제시하고 대응 체계를 점검하는 ‘기습형 훈련’을 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재난 초기 구조인력 확보를 위한 시민과의 협력 체계도 구축하기로 했다. 국토부와 산하기관 직원으로 ‘국토교통재난 봉사대’를 구성한 뒤 역·터미널 인근 상인, 터널·교량 주변 주민 등을 재난봉사대에 참여시킨다는 방침이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