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시가격보다 152억 늘어
30대 재벌그룹 총수들의 주택 공시가격이 부동산 침체 와중에도 1년 새 10%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보유한 주택 3채가 300억원을 넘어 1위였다.
15일 재벌닷컴이 30대 재벌그룹 총수 이름으로 돼 있는 단독·공동주택의 올해 공시가격(국토교통부 산정)을 조사한 것을 보면, 30대 재벌 총수가 보유한 전체 주택가격은 1724억원으로 지난해의 1572억원보다 9.7% 상승했다. 기존주택 공시가격이 올랐고 일부는 새로 주택을 사들여 전체 보유액이 늘어났다.
이건희 회장은 집값이 9.9% 오르며 1위를 지켰다. 서울 이태원동 단독주택은 지난해 130억원에서 올해 149억원으로 14.6% 올랐다. 서울 삼성동 단독주택과 서울 서초동 공동주택의 공시가격은 각각 110억원과 50억800만원을 기록했다.
2위는 이건희 회장의 동생 이명희 신세계 회장이었다. 이명희 회장이 보유한 주택가격은 지난해 128억원에서 올해 154억원으로 20.2% 올랐다. 기존 서울 한남동 단독주택의 공시가격도 올랐고, 윤석금 웅진 회장 보유의 한남동 단독주택을 지난해 사들인데 따른 것이다.
구자열 엘에스(LS) 회장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소재 주택이 지난해보다 2.3% 오른 89억원을 기록해 3위였다. 정몽구 현대차 회장은 4위로, 서울 한남동과 청운동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74억원이었다. 김승연 한화 회장의 서울 가회동 단독주택과 조석래 효성 회장의 서울 성북동 주택 공시가격도 각각 74억원에 달했다.
이밖에 구본무 엘지(LG) 회장의 한남동 주택은 59억원이었고 최태원 에스케이(SK) 회장은 지난해 서울 논현동 단독주택을 팔고 한남동 빌라를 45억5000만원에 새로 사들였다. 이밖에 신동빈 롯데 회장은 49억원, 허창수 지에스(GS) 회장은 44억원,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은 43억원, 조양호 한진 회장은 39억원, 박용만 두산 회장은 33억원, 이재현 씨제이(CJ) 회장은 28억원짜리 주택을 보유하고 있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