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뉴스
고가 주택과 저가 주택의 가격 차이가 꾸준히 좁혀지면서 그 가격 차이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이 지난달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가 주택값은 조금 떨어진 반면, 저가 주택값은 많이 올라, 그만큼 서민들의 내 집 장만이 더 어려워진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케이비(KB)국민은행의 도시주택가격 통계를 보면, 지난달 전국 주택(단독·연립주택·아파트) 평균 가격의 5분위 배율은 4.9로 2008년 12월(국민은행 첫 조사) 이후 6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5분위 배율은 주택 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 가격)을 하위 20% 평균(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이며,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큰 것을 뜻한다.
2008년 12월 8.4로 시작한 5분위 배율은 2009년~2013년 같은 달 기준으로 8.2→7.3→6.0→5.4→5.1로 하락했고, 올해 들어서는 3월에 5.0으로 떨어진 뒤 6월에 최저점을 찍었다. 지난달 전국 5분위 주택 가격은 평균 5억1824만원으로 5년 전인 2009년 6월(5억5951만원)과 견줘 4127만원 하락했다. 1분위 주택 가격은 평균 1억490만원으로 5년 전(6682만원)보다 3808만원 올랐다. 고가 주택값이 5년 동안 7.4% 떨어진 사이 저가 주택값은 57.0%나 뛰어오른 것이다.
박원갑 케이비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부동산시장 침체에 따른 고가주택의 가격 하락, 전세난으로 작은 집이라도 장만하려는 중소형·저가 주택 수요 증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만큼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이 커진 것”이라고 말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