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로부터 카카오톡 압수수색을 받은 정진우 노동당 부대표가 1일 오전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인권단체연석회의 공권력감시대응팀 등 시민단체들과 기자회견을 열고 사찰받은 내용을 공개하며 공권력의 카카오톡 압수수색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카카오톡 사용자들 ‘사이버 망명’에 대책 마련
“프라이버시모드 도입 등 정보보호 최선 다할 것”
“프라이버시모드 도입 등 정보보호 최선 다할 것”
다음카카오가 검찰의 상시 모니터링 및 경찰의 ‘세월호 만민공동회’ 주최자 카카오톡 이용내역 압수수색에 따라 커지고 있는 이용자들의 불안을 덜기 위해 카카오톡으로 주고받은 내용의 보관기간을 이달 중에 2~3일로 줄이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카카오톡 이용자들 사이에서 ‘메신저 망명’ 바람이 일자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현재 다음카카오는 출장이나 여행 등으로 대화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읽지 않은 상태의 대화내용을 5~7일 서버에 보관하고 있다.
다음카카오는 “한번 삭제된 대화내용은 복구가 불가능하고, 법원에서 발부된 영장이 있어도 원천적으로 제공이 불가능하다. 보통 수사기관이 법원 압수수색 영장 발부를 거쳐 자료를 요청하는데 2~3일 이상 소요되는 점을 감안할 때 수사기관의 영장집행에 따른 대화내용 제공이 거의 불가능해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다음카카오는 또 “이번 정책 변경과 함께 향후 수신확인된 대화내용 삭제 기능 등을 포함한 프라이버시 모드를 도입하는 등 보다 강력한 사용자 정보 보호를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다. 부가통신사업자로서 법 체계를 존중하며 따른다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 형사소송법에 따라 법원이 발부한 압수수색영장에 기재된 범위에 한해 존재하는 자료 외에는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