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76억달러…수출·수입 함께 증가
지난달 경상수지 흑자 행진이 31개월째 이어졌다. 수출·수입액이 함께 늘어나면서 ‘불황형 흑자’ 우려에서는 다소 벗어났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9월 국제수지(잠정)’를 보면, 지난달 경상수지는 76억2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돼 8월보다 흑자액이 4억2000만달러 늘었다. 올해 1~9월 누적 흑자는 618억6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550억4000만달러)에 견줘 68억2000만달러(12.4%) 많다. 한은은 올해 경상수지 흑자를 840억달러로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798억8000만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실적을 넘어서는 규모다. 이런 추세라면 1986년 6월부터 38개월 동안 이어진 역대 최장 흑자 기록을 갈아치울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지난달 경상수지 흑자가 8월보다 확대된 것은 상품 수출입에 따른 상품수지 흑자가 증가하고, 서비스수지 적자폭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상품수지 흑자는 전월의 73억7000만달러에서 77억3000만달러로 증가했다. 지난달 수출은 509억8000만달러, 수입은 432억5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0.8%와 3.0% 늘었다. 8월에 수출과 수입이 각각 1.8%와 2.1% 줄어든 탓에 제기됐던 ‘불황형 흑자’ 우려에서는 다소 벗어나는 모양새다. 서비스수지는 여행수지와 건설수지 호전으로 적자 규모가 8월 7억3000만달러에서 9월 2억8000만달러로 줄었다.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 아닌 자본 유출입을 보여주는 금융계정의 유출초(자본이 국외로 나간 것) 규모는 외국인의 국내 주식 대량 매도와 해외직접투자 증가 등으로 인해 한 달 새 78억달러에서 87억6000만달러로 확대됐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