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부실 차단 금융지원 등 나서
1일 금융당국이 전날 동부건설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에 따른 여파가 일부 협력 중소기업의 동반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동부건설과 거래 비중이 큰 23개 중소기업에 대한 긴급 신용위험평가에 착수했다. 금융당국은 평가 결과를 토대로 만기 연장 등 신속 금융지원에 나서며 필요시 워크아웃 등 추가 구조조정에 돌입할 예정이다.
점검 대상 23개 협력업체는 동부건설에 대한 상거래채권 잔액이 해당회사 전년도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곳이다. 동부건설의 협력업체 상거래 채무는 1713개사, 317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금융당국은 5억원 이상 채권을 보유한 중소기업 280개사, 1981억원(평균 7억원)을 약한 고리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우선 일시적으로 자금이 부족한 기업에는 주채권은행 주도 하에 신규자금 지원과 만기연장, 금리감면 등 금융 지원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동부건설에 대한 거래 비중이 커 정상 영업이 어려운 중소기업은 워크아웃을 통한 구조조정에 나설 예정이다.
동부건설에 대한 채권금융기관 여신은 2618억원(담보 1064억원, 무담보 1553억원) 수준이지만, 채권기관들이 추가로 적립해야 할 대손충당금은 충분히 흡수 가능한 수준이어서 법정관리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의 여신 규모는 570억원 수준으로, 이 가운데 무담보여신이 400억원가량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법정관리를 신청한 만큼 동부건설 회사채 투자자의 피해도 불가피하게 됐다. 다만 동부그룹의 유동성 위기가 오래전부터 알려진 상태에서 ‘동양사태’의 학습효과로 회사채를 팔고 나간 투자자가 많아 피해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을 것으로 금융당국에서는 보고 있다. 2014년 말 기준 동부건설 회사채는 1360억원 규모로 일반 투자자 보유분은 23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개인투자자는 907명이 총 227억원을, 법인은 12개사가 8억원을 갖고 있다. 나머지 1125억원어치의 회사채는 산업은행, 동부화재, 동부생명 등 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